경제·금융

[盧-재계총수 회동] 靑-재계 화해무드 조성될까

올해들어 처음으로 만나는 노무현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 사이에는 무슨 얘기가 오갈까. 노대통령과 재계 총수들의 이번 오찬 회동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참여정부와 재계와의 사이가 좁혀질 듯 하면서도 `기름과 물`의 양면성을 좀처럼 떨쳐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번 회동에서는 둘 사이의 벽으로 작용했던 `이념(청와대)`과 `현실(재계)`의 차이를 극복하고 대화합의 성과물을 이끌어 낼 지 주목된다. ◇검찰 수사 = 정부를 이끌고 있는 노 대통령과 재계를 주도하고 있는 전경련 회장단이 풀어야 할 과제는 수북하다. 지난해 이후 우리나라 경제를 짓누르고 있는 신용불량자, 카드채 문제, 내수 및 투자 부진, 청년 실업, 노사관계, 한ㆍ칠레 자유무역협정(FTA)등 무엇하나 가벼운 사안이 없다. 하지만 이번 회동의 최대 이슈는 재계에 대한 검찰의 수사쪽으로 자연스럽게 모아질 게 확실해 보인다. 재계는 그동안 기업들의 투자를 가로막는 최대의 불확실성으로 재계에 대한 무차별 수사를 내세워왔기 때문이다. 재계 총수들은 “검찰 수사가 정치자금 조성과 수수, 사용 모두를 대상으로 이뤄질 경우 올해안에 끝나기 힘들 것 ”이란 기존의 입장을 거듭 주장하며 ` 2월 종결론`을 강하게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 대통령도 연두기자회견에서 재계가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전제로 정치자금에 한정된 검찰 수사에 협력할 의사가 있다는 뜻을 밝힌 터여서 검찰 수사에 대한 양측의 합의는 비교적 쉽게 이뤄질 공산이 크다. 다만 노 대통령이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대안을 재계쪽에서 어떻게 받아들일 지와 어떤 대안을 마련할 것인 지가 관전포인트다. 노 대통령으로서는 검찰 수사가 용두사미로 끝날 것을 우려해 참여연대가 불법정치자금과 관련해 재벌 회장들과 구조조정본부장 11명을 고발한 것이 부담이다. ◇일자리 창출 = 경제 현안가운데는 일자리 창출이 최대 화두다. 노 대통령은 우선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2만달러시대로 가느냐 이대로 주저앉느냐의 중대 기로에 서있다는 점을 들며 연두기자회견에서 밝힌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지도자 회의`에 재계가 적극 참여해 줄 것을 호소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대해서는 재계도 이견이 없다. 전경련은 이미 지난 13일 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일자리 창출 특별위원회`구성계획까지 발표한 상태. 권오규 청와대 정책수석은 “현명관 전경련 부회장이 일자리창출과 투자활성화와 관련한 특별 보고도 할 예정이어서 이 부분에 대한 암묵적 합의는 이뤄졌다고 봐야 한다 ”고 설명했다. 일자리 창출에 관한 한 노 대통령이나 재계나 이심전심이란 얘기다. ◇불신 떨쳐낼까 = 노 대통령과 재계가 두텁게 쌓인 불신의 앙금을 깨끗하게 씻어 낼 지도 지켜볼 만하다. 노 대통령은 재계를 향해 “정부의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가 안 된다는 데 뭐가 문제냐. 직접 만나면 구체적 요구도 없으면서 불평만 한다”며 잇따라 불만을 토로해 왔다. 지난15일 언론사 경제부장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는 “재계가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는다”며 섭섭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강신호 전경련 회장대행은 이에 맞서 “(정부)정책에 구체성이 없어 혼선이 생긴다”며 노 대통령에 대한 불신을 숨기지 않아왔다. 청와대나 재계나 이번 회동에 거는 기대가 큰 것은 불신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는 시각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6월 삼계탕 회동이후 8개월만의 만남에서 오랫동안 쌓인 불신을 말끔하게 털어버리기는 현실적으로 힘들 지 않겠느냐는 게 주변의 관측이다. <박동석기자 everest@sed.co.kr>

관련기사



박동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