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보통신 전문교육 부실화 심각

정보통신 전문교육 부실화 심각정보통신부가 지난 98년부터 미취업 실업자들의 취업과 정보통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정보통신 전문교육의 부실화 정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16일 정통부에 따르면 정통부가 지난해 8월과 올해 초 두 차례에 걸쳐 실업자 취업교육기관으로 선정, 추경예산 총 140억원을 지원한 전국 64개 교육기관 중 수료생의 취업률과 자격증 취득률이 0%인 기관이 각각 8곳, 2곳이나 되는 등 교육성과가 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과정을 제대로 진행하지 않거나 교육생들의 만족도가 극히 저조한 기관도 각각 1곳, 3곳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정통부가 이들 64개 정보통신 전문교육기관을 대상으로 5월 교육과정·강사 및 기자재 등 교육여건·교육계획 준수사항·교육생 출결관리·교육비 부당청구 등에 관한 교육실태를 점검할 결과 드러났다. 교육실태점검 결과에 따르면 이들 64개 교육기관의 수료생 9,560명 중 5월 말 현재 취업자는 3,796명으로 취업률은 45%에 불과했고 국제공인자격과정 수료생 1,341명 중 자격증 취득자는 77명으로 취득률 58%에 그쳤다. 특히 경인직업전문학교·광주여대·세종대·목원대·군산대·호원대·인하대·경민대 등 8개 교육기관의 경우 수료생들이 한명도 취업을 하지 않아 취업률 0%를 기록했다. 또 소프트뱅크코리아·삼성멀티캠퍼스(창원)의 경우 자격증취득과정의 수료생 중 단 한명도 자격증을 취득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경대학교는 교육과정를 제대로 진행하지 못했고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과 한국능률협회·율산대학교 등 3곳은 교육생들의 만족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교육실적 부진 교육기관 14곳에 대해 올 하반기 교육비지원 대상에서 제외했으며 출결관리 및 소요기자재관리 미흡·실습강사 부족·교육참여율 저조·교육생 만족조 저하 등 문제점이 노출된 26개 교육기관에 대해 경고조치를 내렸다. 한편 취업 우수기관으로 중앙일보 교육사업단(취업률 80%)·태성대학(80%)·한국정보기술연구원(77.9%)·정보통신교육원 부산(75%)·정보통신교육원 대전(75%)·LG소프트스쿨(72.3%)이 꼽혔다. 자격증 취득 우수기관으로는 호남대(취득률 100%)·중앙일보교육사업단(96.7%)·한국휴렛팩커드(91.4%) 등으로 나타났다. 박민수기자MSPARK@SED.CO.KR 입력시간 2000/07/17 18:36 ◀ 이전화면

관련기사



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