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벤처社 자금난 설상가상

벤처경기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투자업체에 주식을 되파는 바이백(Buy-back)을 실시하는 벤처캐피털이 최근 들어 크게 늘어나고 있다.특히 코스닥 시장이 바닥에서 좀처럼 탈피하지 못하자 원금 회수를 우려한 중소 창투사들이 잇따라 여기에 가세하고 있어 벤처기업의 자금난이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9일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 업계에 따르면 최근 들어 벤처 기업에 투자한 창투사 등이 자금 회수에 치중하면서 업체에 투자한 주식을 해당 기업에서 다시 인수토록 하는 '바이백 시스템'을 실시하는 기관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 특히 바이백을 실시할 경우 대부분의 기업들이 연 10% 가량의 이자를 부담하고 있어 앞으로 자금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지난 2000년말 A창투사 등 3개 기관에서 12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던 솔루션업체 D사. 내년에 코스닥 등록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올해 상반기부터 투자자들이 주식 재인수를 요구해 와 지난달 결국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13억4,000만원을 돌려줬다. 이자만 1억4,000만원을 지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은행에서 3억원의 대출을 받기도 했다. L사장은 "계약을 할 때 구두로 주식 재인수를 약속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며 "하지만 경영상태도 그리 나쁘지 않아 바이백 옵션을 제기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전기부품 제조업체인 M사는 한 창투사가 보유한 주식물량을 다른 투자기관에서 인수해 겨우 위기를 벗어난 경우다. 대신 이 회사는 배수 조정을 당해 해당 투자기관의 보유 주식물량이 최초 지분인 15%에서 21%로 6%포인트나 높아졌다. 그래도 이 두 회사처럼 자금을 확보하거나 대체 기관을 찾은 경우는 그래도 양호한 편이다. 매출 규모가 작거나 아직 사업이 본궤도에 올라가지 못해 자금이 확보되지 못한 기업은 매달 일정액을 주는 곳도 있다는 업계의 설명이다. 한 관계자는 "중소 창투사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기업의 경우 바이백 옵션 때문에 심각한 자금난에 처한 게 사실"이라며 "실제로 소프트웨어 업체중 일부는 최근 매출액의 20% 가량을 주식인수 대금 형식으로 창투사에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벤처캐피털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요즘에는 코스닥에 등록해 봤자 손해를 보지 않으면 다행일 정도로 상황이 안 좋기 때문에 원금에 손실이 가지 않게 하려면 바이백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게 그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국내의 대표적인 벤처캐피털인 B사의 경우 올해 보유 주식을 매각한 투자업체 26곳중 바이백을 실시한 곳이 절반인 13개에 달한다. 또 C사는 아직까지 주식 재인수를 요구를 하지는 않았지만 투자업체 중 3곳 정도에 대해서는 이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캐피털의 한 관계자는 "등록을 해도 초기 투자배수가 높았기 때문에 큰 수익을 내기는 힘들 것"이라며 "특히 보유주식 처분 제한규정(Lock-up)으로 손해 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자금 여력이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바이백을 선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송영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