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9월 6일] 노사합의조차 거부하는 현대차 노조원들

현대차 노사 대표가 마련한 임금협상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됐다. 찬성 37.39%, 반대 61.21%였다. 노조 집행부는 지도력에 큰 상처를 입었고 회사 측도 타결지연과 재협상에 따른 경영차질과 부담증가가 우려된다. 잠정합의안이 부결된 만큼 노조가 더 강한 요구를 들고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2일 임금 8만5,000원 인상 및 성과급 300%+300만원 지급, 주간연속 2교대 근무제 등을 내용으로 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었다. 조합원들이 합의안에 반대한 것은 노조 주도권을 놓고 현 집행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현장실천단’ 등 강성세력이 부결운동을 벌인데다 임금인상 폭에 대한 조합원들의 불만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합의안 부결은 도가 지나친 것이어서 이해하기 어렵다. 우선 임금은 그 자체로도 그렇지만 근무제 변경에 따른 근무시간 단축을 감안하면 결코 낮은 것이 아니다. 현재 주간 10시간, 야간 10시간의 맞교대제가 각각 8시간, 9시간의 주간2교대제로 변경되면 작업시간은 3시간이나 줄어든다. 일하는 시간은 줄지만 임금은 그대로 받게 되니 실제 임금인상폭은 훨씬 높아진다. 그런데도 임금인상폭을 문제 삼는 것은 지나친 투정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 근무제 변경도 마찬가지다. 잠정합의안에서는 8+9의 2연속교대제를 내년 1월 전주공장에 시범 실시하고 9월부터 전공장에 확대한다고 돼 있다. 그러나 현장실천단 등은 각 8+8근무제 실시를 주장하고 있다. 근무시간이 줄면 생산량 감소 등 여러 부작용이 예상된다. 생산량을 종전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게 노사 합의이지만 지켜질지는 의문이다.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협력업체를 포함해 설비 및 인력조정 등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계적 실시로 시행착오를 줄여나가는 게 바람직하다. 완전2교대제의 전면적 실시 주장은 노조 입장만 내세운 이기주의적 자세다. 현대차 노조는 재협상에서 무리한 요구를 자제해야 한다. 세계 자동차시장 환경은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업체 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는데 노조 배만 불리겠다고 나서면 회사는 경쟁력을 잃고 시장에서 밀려나고 말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