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중·고생 年 2회 진로 적성검사

2014년까지 상담교사 배치키로

올해부터 전국 초ㆍ중ㆍ고생은 매년 두 차례 이상 진로직업 적성검사를 받는다. 또 오는2014년까지 모든 중ㆍ고교에 진로진학 상담교사가 배치돼 학생들의 진학준비와 직업 선택을 위한 상담을 실시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일 서울 정신여고에서 '2011 전국 진로교육 정책포럼'을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현장 중심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전국 초ㆍ중ㆍ고 학생은 매년 2회 이상 온ㆍ오프라인 진로직업 적성검사를 받고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을 받는다. 상담결과는 에듀팟(www.edupot.go.kr) 시스템에 기록해 관리한다. 교과부는 진로적성검사와 상담결과를 진로 포트폴리오에 반영하고 장기적으로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진로지도 결과를 대입 전형자료로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미국의 경우 대학에서 고교 진학상담교사격인 '스쿨 카운슬러(School Counselor)'의 추천서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학생ㆍ학부모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진로진학 상담을 하는 진로진학 상담교사는 올해 공립고에 1,000명, 사립고에 500명 등 1,500명이 배치됐고 2012년, 2013년에 1,500명씩이 추가 배치되는 등 2014년까지 전국 5,383개 중ㆍ고교 전체에 1명씩 배치된다. 이 밖에 일반 과목 수업시간의 진로교육이 강화되고 학교별 진로체험 프로그램도 확충된다. 또 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고용정보원ㆍ한국대학교육협의회ㆍ한국과학창의재단ㆍEBS 등 진로관련 전문기관 간 협의체를 구성해 종합적인 진로진학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인문계고와 4년제 대학 졸업 후에도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지 못하는 사례가 많아 공교육 현장에서부터 진로진학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진로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