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2월 22일] 대기업 성과급 소비살리기에 도움되길

[사설/12월 22일] 대기업 성과급 소비살리기에 도움되길 삼성ㆍLGㆍ현대차ㆍSK 등 4대그룹은 연말연시에 성과급을 당초 일정보다 앞당겨 지급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들 그룹이 집행하기로 한 상여금은 2조원 규모로 국내 소비로 이어질 경우 내수경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직원들의 사기도 크게 올라가 경제난 극복에 활력소가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도 기대된다. 3년 전 이맘때도 삼성전자ㆍ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들이 연말 거액의 특별상여금을 지급해 내수가 활기를 띤 적이 있다. 상여금을 받은 샐러리맨들이 주식투자와 고가의 내구소비재 구입에 나서면서 ‘특상 경기’라는 말이 나돌기도 했다. 4대그룹의 연말연시 성과급 지급이 위축된 내수경기 활성화에 조금이라도 힘이 됐으면 한다. 정부도 소비진작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지난 19일부터 자동차 개별소비세를 30% 인하하고 내년부터 접대비 상한제를 폐지할 경우 소비를 촉진시켜 경기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소비세 인하로 자동차 가격이 그만큼 싸져 소비자들의 부담은 줄어든다. 접대 받는 사람의 주민번호까지 적도록 한 접대비 실명제를 폐지하는 것도 기업의 영업활동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침체의 폭과 기간은 소비에 달려 있다. 금융경색과 실물경제가 침체하는 동반 불황의 근본원인은 소비가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가 죽으니 생산이 줄고, 생산이 주니 감원과 해고로 이어지고 해고는 곧 소득감소와 소비부진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이 제로금리를 선언하고 중앙은행 금고를 열어 달러를 무제한 방출하기로 한 것도 결국은 소비부진을 타개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일부 대기업과 정부의 노력만으로 소비를 살리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경제주체 모두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기업과 노조의 고용안정을 위한 협력이 필요하다. 일을 해야 소득이 있고 소득이 있어야 소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유층이 자유롭게 돈을 쓸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영업부진으로 어려움이 많은 세입자들을 위해 상가주인들이 임대료를 동결하거나 낮춰주는 등 공생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연말연시를 맞아 선물 주고받기를 활성화하는 것도 소비진작에 도움이 될 것이다. ▶▶▶ 관련기사 ◀◀◀ ▶ 현대·기아車 연말 성과급 '희비' ▶ [사설] 대기업 성과급 소비살리기에 도움되길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