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연말 조직개편 어떻게…" 한은 술렁

일부부서 축소·폐지 유력<br>퇴출 간부·통폐합 부서 등 '살생부' 소문 나돌기도<br>부총재 등 임기만료 따라 후속 인사도 최대폭 전망

한국은행이 연말 조직개편을 앞두고 술렁이고 있다. 김중수 총재가 한은의 기능에 '금융안정'을 추가한 개정 한은법 시행(12월17일)을 계기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한은 내부에서는 퇴출이 유력한 1~2급(실ㆍ국장) 간부와 통폐합될 부서의 명단 등 이른바 '살생부'가 직원들 사이에 오르내리고 있다. 3일 한은에 따르면 김 총재는 국장급과 팀장급 8~9명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조직개편안 마련에 착수했다. 이번 조직개편에서는 한은법 개정 취지에 맞춰 '금융안정분석국'이 강화되는 반면 '정책기획국'과 '국제국' 등 일부 부서는 폐지 내지 축소가 유력하다. 특히 금융통화위원들에게 통화정책에 대한 한은 집행부의 견해를 제시하는 핵심 부서인 정책기획국은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김 총재는 취임 초 "금리결정은 금통위원들이 하는데 정책기획국이 왜 필요하냐"며 폐지를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국' 역시 "글로벌 시대에 국내외 시장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 한은 내부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각 부서에 산재한 중복 업무들도 상당부분 통폐합될 가능성이 크다. 조직개편 뒤에는 인적쇄신이 한은 직원들을 기다리고 있다. 조직개편에 맞춰 예전보다 앞당겨지는 이번 인사에서는 78행번 이후 고참 간부들이 대거 퇴진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총재는 올해 초 정기인사에서 1977ㆍ1978년 입행한 고참 간부 20여명을 대거 보직에서 배제하는 세대교체를 단행한 바 있다. 인사요인도 산적해 있다. 우선 내년 4월 이주열 부총재와 3명의 부총재보가 임기만료로 물러난다. 정기인사는 이들의 임기만료 이전에 이뤄지지만 시차가 3~4개월에 불과한 만큼 어떤 식으로든 정기인사에 미리 반영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 총재가 지난해 8월 1970년대 행번 일색이던 부총재보에 박원식 총무국장(1982년 입행)을 전격 발탁한 전례에 비춰볼 때 부총재 3명의 인사도 입행년도를 뛰어넘는 깜짝 인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다 내년부터 외자운용원장 자리가 외부인사로 바뀔 예정이어서 인사폭은 사상 최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