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올해 벼 재배면적 100만㏊ 이하로 첫 감소

우리나라 국민의 주식인 쌀을 생산하는 벼 재배면적이 올해 사상 처음으로 100만㏊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벼 재배면적 감소는 농정당국이 쌀 재배 농가의 경쟁력 강화와 쌀 재고관리를 위해 한계농지에 다른 작물을 심도록 유도하고 있는데다 공업화로 농지 전용이 확대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25일 농림부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벼 재배면적(논벼와밭벼)은 100만1천㏊를 기록했으나 올해 말에는 98만6천㏊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작년 말 1만8천㏊였던 밭벼 재배면적은 품질이 떨어지는 밭벼 감축을 유도하고있는 농정당국의 정책으로 올해는 1만3천㏊까지 줄어들고, 논벼 재배면적도 한계농지 정리 등으로 지난해 98만3천㏊에서 올해는 97만3천㏊로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70년대말 120만㏊를 웃돌았던 벼 재배면적은 급격한 공업화.산업화로 농지전용이 확대되고 농정당국이 산간지역 등 규모화가 불가능한 지역의 농지를 다른 용도로 이용하도록 유도하면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농지법 개정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농지 소유제한이 대폭 완화되면 벼 재배면적 감소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농정당국은 쌀 소비량 감소와 쌀 재고량 급증 등으로 벼 생산조정제등을 시행하면서 벼 재배면적이 자연스럽게 감소하고 있지만 식량안보 차원에서 우량농지는 계속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 수입쌀의 시판이 허용된 상황에서 기존의 소규모 벼 재배방식으로는 외국쌀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벼 재배의 규모화를 이뤄야한다는 것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경쟁력이 없는 한계농지는 지속적으로 줄여나갈 방침이지만 외국쌀과의 경쟁과 식량주권을 위해 기계농이 가능할 정도의 우량농지는 확대해야한다"며 "용도변경을 놓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는 새만금 간척지도 대규모 우량농지확보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현영복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