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리 첫 기상위성 천리안 1일 9시부터 정규 운영

교육과학기술부와 기상청은 우리나라 최초 기상위성인 '천리안'을 1일 오전 9시부터 정규 운영한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ㆍ일본ㆍ중국ㆍ유럽ㆍ러시아ㆍ인도 등에 이어 세계 7번째로 기상위성을 운영하는 국가가 됐다. 천리안 위성은 앞으로 7년간 기상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는 지난해 6월27일 남미 기아나 쿠르 우주센터에서 천리안위성을 발사한 후, 궤도상 시험과 지상 시스템 점검 등 본격 가동을 위한 최종 점검을 마쳤다. 천리안은 발사 후 목표 정지궤도(동경 128.2도 적도 상공)에 진입한 후 같은해 7월12일 최초 가시채널 기상영상을 촬영한 데 이어 8월11일에는 4개의 적외채널 기상영상 촬영에 성공했다. 천리안 위성의 정규운영으로 우리나라는 지구 북반구지역 기상영상을 15분마다 수신할 수 있다. 기존 일본 위성(MTSAT)으로부터 30분마다 수신했던 것과 비교하면 위성자료의 활용도가 2배 늘게 된다. 더욱이 한반도 지역에 대한 특별관측을 포함하면 1시간 동안 최대 8회를 관측할 수 있어 위험기상 감시와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천리안으로 관측한 기상영상은 충북 진천에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수신ㆍ처리ㆍ분석돼 기상예보뿐만 아니라 재난안전 관련기관, 민간 예보사업자, 언론기관, 연구기관, 학교 등에 제공된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