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중 통화스와프로 무역결제 첫 지원

한은, 외환은행에 6,200만위안 대출

한국과 중국의 통화스와프 자금을 무역업체에 지원하는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27일 한국은행은 ‘한중 통화스와프 자금 무역결제 지원제도’를 이용하기 위해 한은과 외화대출 기본약정을 체결한 국내은행 가운데 외환은행에 대해 처음으로 위안화 외화대출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대상업체는 중국에 자동차 관련 물품을 수출하는 기업으로, 6,200만 위안(107억원)을 빌렸다.

관련기사



한국은행과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해 12월 한중 통화스와프 자금 64조원(3,600억 위안)을 시중은행을 통해 국내기업의 위안화 무역결제나 중국기업의 원화무역 결제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입장에선 위안화 국제화를 촉진할 있고, 우리나라도 원화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첫 사례를 낸 외환은행의 ‘BOK위안화대출’은 중국과 수출입거래를 하는 국내기업이 대금 결제를 위안화로 하는 경우 위안화를 저리로 차입해 대출해준다. 한은과 외화대출 약정을 체결한 외환은행이 인민은행의 한은계좌에서 위안화를 인출해 수출업체에 대금을 지급한다. 금리는 한국은행에서 차입하는 상하이위안화금리(SHIBOR)를 기준금리로 하고 기업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는다. 이 대출을 받으면 자금을 조기 할인 받는 효과가 나타난다.

한은 관계자는 “이 제도가 활성화되면 기업은 안정적인 자금조달 수단을 확보하고 한중 교역에서 환리스크와 거래비용이 줄어든다”며 “국내은행과 기업 의견을 적극 수렴해 중국 인민은행과 개선방안을 긴밀히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