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발굴! 코스닥 알짜 지방기업] <5·끝> 코엔텍

2008년 상용화 성공땐 원가 큰폭 절감<br>재활용 시장도 진출…시너지 효과 기대



허의웅 대표

허의웅 대표

“폐기물 최종처리 시장은 이종 시장인 재활용 시장과 경쟁이 격화되면서 한동안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하지만 수익성 다각화 노력이 점차 가시화하고 있어 내년부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합니다” 산업폐기물 처리업체인 코엔텍의 허의웅(사진) 대표는 역점을 두고 있는 분야로 ‘기술개발을 통한 원가 절감과 사업 다각화 차원의 재활용 시장 진출’을 꼽았다. 코엔텍은 현재 한국전력과 공동으로 잔류성 무기염류의 한 종류인 PCBs 처리 기술을 개발중으로 내년께 개발 및 테스트를 완료한 뒤 2008년부터 상용화에 들어갈 계획이다. 허 대표는 “외국에 로열티를 지불하며 처리하고 있는 수은 등 위험 물질 처리기술을 개발해 원가를 줄이는 게 당면 목표”라고 말했다. 또 지난 7월에는 건축폐기물 관련 재활용 업체인 용신환경개발의 지분 100%를 인수, 사업 다각화 및 시너지를 위한 기반도 닦았다. 이번 인수로 산업재 최종처리 시장에 국한됐던 사업 영역을 재활용 시장까지 넓히고 양 시장의 영업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코엔텍의 설명이다. 현대증권은 코엔텍이 이 같은 노력으로 내년에 매출 295억원, 영업이익 77억원의 실적을 낼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올해 예상 실적인 282억원, 71억원에 비해 각각 4.6%, 8.45% 증가하는 것으로 올해를 저점으로 내년부터 실적이 회복세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ㆍ4분기는 수익성이 좋은 매립 부문 실적이 줄어들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9%, 47.8% 감소했다. 하지만 4ㆍ4분기에는 재활용 가능 폐기물에 대한 일부 규제가 강화되면서 최종 처리 물량이 늘어나 전분기에 비해 다소나마 개선될 전망이다. 박정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폐기물 처리업은 정부의 정책 변수 영향이 큰 분야”라며 “정부가 2010년부터 폐기물의 해양투기를 금지하고 육상 처리 방침을 밝히고 있어 장기적으로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