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항암유전자 ‘라스에프원에이’ 국내연구진 세계 첫 역할 규명

폐암이나 위암ㆍ간암ㆍ뇌암 등 각종 암의 발생과 증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항암 유전자 `라스에프원에이(RASSFIA)`의 세포 내 역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생명과학 임대식 교수팀은 암 발생 초기에는 활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세포분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클린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세포분열 진행과정과 시간을 제어한다는것을 발견했다고 5일 밝혔다. 임 교수는 “암은 흡연이나 방사선 등에 의한 유전적 변이로 인해 세포주기가 조절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라면서 “여러가지 항암 유전자 중 암 발생 초기에 나타나지 않는 라스에프원에이에 대해 2년간 집중 연구한 결과 이 유전자가 정확한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임 교수팀은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암 발생 초기에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으면 염색체 이상을 초래하고 다른 항암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촉진시켜 결국 악성 종양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 발생 초기에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의 발현 여부에 따라 암 조기진단과 예후 판정을 가능하게 하고 암 치료 신약개발의 중요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세포생물학지 2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한동수기자 bestg@sed.co.kr>

관련기사



한동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