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햇볕정책도 상황따라 조절해야"

고건, DJ 정계복귀 움직임에 견제 나선듯


"햇볕정책도 상황따라 조절해야" 고건, DJ 정계복귀 움직임에 견제 나선듯 안길수기자 coolass@sed.co.kr 고 건(사진) 전 총리가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정계 복귀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햇볕정책 견제에 나섰다. 고 전 총리는 8일 오후 안동대 특강에서 "햇볕이 계절 마다 강약 차이를 보이지만 겨울에도 사라지지 않듯이, 햇볕정책도 상황에 따라 강온을 잘 조절해 계속돼야 할 것"이라며 '햇볕조절론'을 주장했다. 그는 특히 "북한 탓에 싸늘해진 남북상황에서는 유화정책을 실용적 중도노선으로 신속하게 교정해 동포애와 제재를 합리적으로 배합해야 한다"며 이른바 '가을 햇볕전략'을 제시하기도 했다. DJ가 북한의 핵실험 이후 햇볕정책 고수 입장을 표명해 왔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햇볕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고 전 총리의 주장은 DJ에 대한 일정한 '거리두기'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여전히 호남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DJ가 지난 4일 노무현 대통령과 오찬을 함께하는 등 최근 정계개편 과정에 의미 있는 변수로 등장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다. 이와 관련, 범여권의 대권후보 자리를 노리고 있는 고 전 총리로선 정계 개편의 주도권을 상실하고, DJ가 노 대통령과 함께 정계개편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최악의 시나리오로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고 전 총리는 DJ와 호남 정서를 감안한 듯 "햇볕정책은 긴장완화와 이산가족상봉, 민간교류확대 등 남북관계를 개선한 성과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고 전 총리의 한 측근은 "DJ와 각을 세울 생각도 없고, 햇볕정책과 관련된 입장도 기존의 입장에서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고 전 총리는 그러나 "노 대통령은 북핵실험 이후 유화책을 포기한다는 의사를 공개 표명하더니 요즘엔 안이하고 경직된 유화고수론을 펴고 있다"면서 노 대통령을 직접 비판했다. 그는 "정부는 달라진 안보상황을 직시해야 한다"며 "미국과 한미연합사 체제에서 약속했던 전시지원군 파견계획과 작계 5027을 새로운 안보상황에 맞춰 수정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11/08 19:1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