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출구 안보이는 개성공단

북 "가동중단 남 책임" 연일 비난<br>해외 납품 계약 파기 잇따라 123개 입주기업 피해 눈덩이

북한이 개성공단 가동 중단 사태의 책임을 연일 우리 정부에 돌리는 가운데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2일 "그 어떤 궤변과 모략 소동으로도 괴뢰패당은 개성공업지구사업을 최악의 위기에 몰아넣은 범죄적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괴뢰들은 고의적인 긴장 격화 책동으로 개성공업지구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평화적 분위기를 파괴했다"고 비난했다. 신문은 또 "어용언론들을 동원하여 '외화 수입 원천이기 때문에 손을 대지 못한다'느니 '북의 두 얼굴'이니 하는 헛나발을 불어대며 우리를 자극했다"며 "더욱이 참을 수 없는 것은 괴뢰군부 패거리들이 '억류 사태'니 '인질 구출' 작전이니 하면서 개성공업지구에 미군 특공대까지 끌어들여 전쟁 발원지로 만들려고 날뛴 사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로 개성공단 정상화는 점점 요원해지는 모양새다. 북한은 17일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을 거부한 데 이어 이날 예정된 범중소기업계 대표단의 방북마저 거절하며 사태를 장기화 국면으로 끌고 가고 있다.


북측 근로자가 출근하지 않는 사태가 이날로 2주째로 접어들며 개성공단 입주기업 123곳의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개성공단에 체류하는 우리 측 인원은 대폭 줄어 한 달 전의 5분의1 수준인 188명에 그치고 있다. 이들은 물건을 생산할 원자재는커녕 식료품 수급에도 애를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기업은 해외 바이어로부터 계약 파기를 통보 받았으며 납기일을 맞추지 못해 계약 해지 상황에 처한 업체도 부지기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정부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생산완료제품을 운송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입주기업이 완성품을 들여오지 못해 해외 바이어들로부터 클레임을 받는 상황이 현실화돼 매우 안타깝다"면서 "개성공단을 유지ㆍ발전시킨다는 원칙 아래 국민의 신변 보장과 재산권 보호 등을 최우선에 두고 현 상황을 관리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