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원자재쇼크 상생협력으로 풀어야

현대ㆍ기아자동차가 1차 협력업체들의 주물제품 납품가를 원재료비 기준으로 20% 올려주기로 했다.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납품가를 인상했으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차원에서 다시 올리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막상 생산중단이라는 극단적인 행동에 돌입했던 주물업계는 기대에 미흡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주물제품 원재료인 고철이 지난 2006년 말 ㎏당 270원에서 올해 초 455원으로 67%나 급등해 ㎏당 80원 정도로는 제대로 원가보상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주물업계는 별다른 해결책이 없다면 오는 17일로 예정된 2차 납품중단을 단행하겠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이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만큼 속도가 빠르고 범위도 넓다는 점에서 주물업계의 주장에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2만개가 넘는 부품을 사용하는 완성차 업계로서는 주물 외에 다른 부품의 납품가 인상요인도 살펴봐야 하는 입장이다. 더욱이 날로 격화되는 세계시장에서의 경쟁을 감안한다면 부품 납품가 인상을 자동차 판매가격 인상으로 전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생산성 향상으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부담을 최대한 흡수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부품 가격이 비싸지면 완성차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 집단적인 행동으로 무리하게 납품 가격을 인상하면 단기적으로는 득이 될지 몰라도 중장기적으로는 손해가 될 수 있다. 또 납품가 인상이 2, 3차 협력업체에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하도급 관행이 개선돼야 한다. 국제원자재 쇼크에 따른 원가 압박은 중소기업은 물론이고 대기업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대기업이 견딜 여력이 더 크므로 원가상승 부분을 모두 떠안아야 한다는 것은 시장원리에도 맞지 않다. 원자재 가격과 납품 가격 연동제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도 그 때문이다. 지금 우리 산업계는 높은 원자재가라는 거대한 파도 속에 묻혀 있다. 주물업계에 이어 13일에는 레미콘 업계가 다시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원자재 쇼크를 극복하는 데는 고통분담이 요구된다. 그리고 시장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는 정부 개입은 자제돼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