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AIST 출신 NASA 연구원, 전자섬유 메모리 시스템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 및 전자공학과 졸업한 후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한진우 박사가 전자섬유에 필수적인 ‘저항 스위칭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전자섬유란 전원, 배터리, 센서, 전산기능, 메모리 등이 내장될 수 있는 섬유를 뜻한다. 한 박사가 개발한 저항 스위칭 메모리는 재기록과 재복구가 가능하며, 100일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를 수록할 수 있다. 메모리 내부는 구리선, 산화구리막, 플래티넘선을 직물의 구조와 같은 격자 모양으로 배열해 쉽게 직물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전자섬유가 상용화되면 정기적인 치료나 건강검진이 필요한 만성질환자 및 고령자, 혹은 군인이나 우주비행사 등 건강관리가 필요한 사람들의 생체정보를 의사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물리학협회 학술지인 ‘AIP 어드밴스’에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된 후 파퓰러사이언스, PC 월드에 소개되는 등 해외 언론으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