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대통령 北核관련 LA발언은 한국민 불안감 반영한것"

허바드 前주한美대사 강연

토머스 허바드 전 주한미 대사는 16일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미국이 절차(6자 회담)에 실질내용을 가미하지 않는 한 진전이 없을 것”이라며 “북한의 공갈에 굴복해서가 아니라 북한의 진의를 시험해보고 북한에 확신감을 심어주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주한대사를 끝으로 39년간의 외교관 생활을 마감한 허바드 대사는 이날 워싱턴 시내 페어몬트 호텔에서 가진 강연에서 이렇게 말하고 이어 “그래도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경우 우리는 어려운 선택 방안들을 고려해봐야 하겠지만, (그에 앞서 최종적으로) 북한의 진의를 확인하는 시험을 해보는 게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미국 일각의 북한 정권교체론에 대해 그는 “한국은 그런 방식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 돼 있다”며 “정권교체 방식은 미국의 맹방들과 합의 없이는 실효성이 없으며 대화가 더 나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의 북핵관련 로스앤젤레스 연설에 대해 “연설문 전문을 읽어보지 않았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한국민을 짓누르고 있는(overbearing), 미국이 한반도 평화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일을 하려 한다는 불안감, 즉 미국이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을 단행해 6ㆍ25 이후 자신들이 이룬 모든 것을 잃어버릴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ㆍ미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문제에 대해 허바드 전 대사는 “양국간 교역규모 등 경제 뿐 아니라 안보문제를 고려하더라도 FTA 체결과 비자면제협정 체결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ㆍ미관계 전반에 대해 그는 “한국의 정치는 중도좌파로, 미국은 우파로 방향전환을 한 것은 사실이며 미국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의 새 지도자들은 양국관계의 불평등과 무시에 민감하다”고 말하고 “그러나 제임스 켈리 차관보는 노 대통령의 집권이 실제론 한미동맹 관계의 기반을 확대한 셈이라고 진단했는데 거기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허바드 전 대사는 특히 “툭 깨놓고 얘기하는 성품의(down-to-earth)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 관계는 김대중 전 대통령 때보다 편한 관계”라고 말하고 “부시 행정부 2기엔 양국 동맹관계 관리가 더욱 원만해지리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