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반토막 고용률ㆍ늘어나는 빚… 20대가 아프다

20대 고용률 50% 시대…‘채무조정’신청 20대만 ↑

좁아지는 취업의 문, 늘어만 가는 빚으로 20대가 신음하고 있다. 등록금에 대한 부담과 극심한 취업난 때문에 빚을 갚지 못해 채무조정을 신청한 20대가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고용률 또한 전체 고용률이 60%대를 웃도는 가운데 50%대로 떨어져 20대의 부담이 쉽게 가시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2일 신복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29세 이하 개인워크아웃 신청자가 6,809명으로 2011년 6,535명보다 4,2% 증가했다.


연령별 개인워크아웃 신청이 1년 전보다 증가한 계층은 29세 이하가 유일하다. 30~39세는 10.2%, 40~49세는 8.1%, 50~59세는 3.6%, 60세 이상은 1.7% 감소했다. 개인워크아웃은 채무자가 금융회사에서 빌린 돈을 3개월 이상 연체했을 때 신청할 수 있다.

관련기사



29세 이하가 전체 워크아웃 신청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5%에서 9.5%로 늘었다. 연체기간이 1~3달 사이인 단기 채무 불이행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 신청자는 2,029명에서 2,180명으로 7.4% 증가했다.

20대 채무 불이행자가 증가한 것은 등록금이나 생활비로 쓰려고 빚을 졌으나 극심한 취업난 탓에 돈을 갚기 어려운 상태에 놓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0대의 고민은 채무 불이행에서 그치지 않는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층인 20∼29세 고용률은 58.1%였으며, 이 중 남성 57.3%, 여성 58.8%로 50%대로 하락했다. 사회 초년병인 20대 고용률은 김대중 정부 말기인 2002년 61.3%에서 노무현 정부 말기인 2007년 60.0%로 떨어진 데 이어 이명박 정부 말기인 작년에는 60%를 밑돌기 시작한 뒤로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새 정부가 고용률 목표치인 70%를 달성하고 대학생 채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청년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대통령직 인수위는 청년 일자리 확보와 학자금 대출 채무조정을 대표 해법으로 내세우고 있다. 인수위는 학자금 대출 연체채권을 국민행복기금이 사들여 채무조정을 시행하는 안을 제시했다. 또한 청년 일자리를 확보하려고 교원ㆍ경찰ㆍ소방ㆍ복지ㆍ고용분야 등 공공부문에서 청년층 일자리를 늘리고 청년 신규채용 시 임금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