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8월8일] 영미 석유협정


[오늘의 경제소사/8월8일] 영미 석유협정 권홍우 편집위원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1944년 8월8일 워싱턴, 미국과 영국이 석유협정을 맺었다. 골자는 두 가지. 국제석유위원회를 설치해 ▦세계 수요를 예측하고 ▦가채 매장량과 수급 요인을 파악해 각국의 권장생산 쿼터를 할당한다는 것이다. 두 나라 간의 개별협정으로 성립된 기구가 다른 나라의 생산량을 할당한다는 내용이 어불성설로 들리지만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다. 미국의 석유생산량이 세계 총생산의 63%를 차지하고 있었으니까. 세계 수요의 5%밖에 생산하지 않았으나 누구나 미래의 유전이라고 생각했던 중동지역 역시 영국과 미국의 영향권에 있던 시절이다. 협정의 출발점은 상호불신. 미국은 영국이 전후 중동의 석유를 독식하려 들 것이라고 의심했다. 영국은 국제무대에서 발언권이 강해질 것이 뻔한 미국이 전후 중동질서를 재편하면서 석유이권을 독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은 또 다른 목적도 있었다. 미국 내 매장량은 언제 터질지 모를 다른 전쟁에 대비해 아껴두는 대신 중동 지역에서 석유를 공급 받을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영국과 협력하게 된 배경이다. 거창한 명분과 정교한 손익계산으로 탄생한 영미 석유협정은 곧 사문화하고 말았다. 미국 의회의 승인을 얻지 못해서다. 정부의 주도를 원하지도 않고 값싼 중동산 원유가 수입되면 이익을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한 석유업계의 로비 탓이다. 영미 석유협정은 반짝하고 사라졌지만 그 틀의 생명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정부 대신 영미계 대형 석유회사들이 원유 수급을 좌지우지해온 것이다. 1차 석유위기 이후 석유수출국기구와 산유국으로 주도권이 넘어갔다고 하지만 메이저들의 힘은 여전하다. 석유파동과 유가상승ㆍ수급에 상관없이 영미계 메이저들의 수익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만 간다. 보이지 않는 영미 석유협정이 아직도 원유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셈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