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은행들 "공적자금 갚겠다"

JP모건등 FRB에 상환 허용 요청

미국의 대표적 금융기관들이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로부터 수혈받은 공적자금의 상환을 추진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8일(현지시간) J.P.모건 체이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 월가의 3개 핵심 은행들이 미국정부의 구제금융(TARP) 프로그램에서 지원 받은 450억달러의 상환을 허용해 줄 것을 FRB에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임원 보수 규정, 인력 및 자산운용 등 정부의 경영 간섭에서 조기에 벗어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은행들은 최근 수주동안 지난해 10월 금융위기 상황에서 FRB로부터 수혈받은 공적자금을 모두 상환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왔다. 지난해 10월 설정된 7,000억달러의 구제금융을 지원받은 은행 가운데 지금까지 14 소형 은행들이 12억 달러의 공적자금을 상환했으나 대형 투자은행 가운데는 아직 상환한 곳이 없다. 따라서 이들이 자금을 상환할 경우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대형 은행들이 공적자금을 상환하겠다고 나선 데 대해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어떠한 코멘트도 거부하고 있다. 3개 은행들은 현재 이 문제에 대해 FRB와 협상을 하고 있으나 FRB가 이를 허용할지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소식통에 따르면 FRB는 이들 대형은행들이 규제를 벗어나 중소규모 은행들로부터 유능한 인력과 자원을 대거 몰아가는 등의 사태를 벌일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헌팅턴 자산운용사의 피터 소렌티노는 "일부 투자은행들이 공적자금을 상환하겠다고 나선 것은 좋은 신호지만 이들이 고객 및 자본, 인력 스카우트전에 뛰어들 경우 극심한 시장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최근 미 정부가 실시한 19개 대형은행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건전성 평가)'에서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시티그룹 등 10개 은행은 추가 자본확충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골드만삭스와 JP모건체이스 등 9개 은행은 충분한 자본을 보유해 건전성이 양호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