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국민들은 해외여행을 하면서 지도 하나만 들고 박물관이나 관광명소를 찾던 경험을 갖고 있다. 도로명 주소를 생활화하는 외국 주소의 편리함을 경험한 많은 사람들은 이를 두고 선진국형 주소제도라고 반긴다. 도로명 주소는 일정한 간격(20m)으로 번호를 매겨 좌측 건물에는 홀수번호, 우측 건물에는 짝수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해 몇 가지 기준만 알면 집을 찾기 쉽게 만들었다.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이 110만명에 이르고 한 해 동안 800만명의 외국인이 우리나라를 방문하고 있고 기술, 제도 등 거의 모든 분야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고 있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국제적 기준에 맞지 않으면 무역, 관광 등에서도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 현재 지구상에서 지번주소를 쓰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 등 일부 지역 외에는 없다. 사용방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OECD 국가를 비롯해서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도로명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 서울종합방재센터에 따르면 119 신고 접수의 약 52%가 휴대전화로 이뤄져 위치파악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사회ㆍ경제적 비용이 연간 3조4,000억원이나 된다. 그러나 도로명 주소를 생활화할 때 긴급상황에 훨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ㆍ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위치정보(GIS) 산업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도로와 건물로 구성되는 하드웨어적 인프라가 선행적으로 구비돼야 한다. 즉 내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이 있기 때문에 새 주소가 필요 없는 것이 아니라 새 주소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명의 이기를 향유할 수 있다. 새주소 제도는 위치기반 산업의 근간이며 우리나라의 정보기술(IT) 경쟁력과 결부돼 다른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견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지난 2010년 5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주소표준화를 논의하면서 한국을 눈여겨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7월29일 정부는 전국적으로 도로명 주소를 고시해 법정효력을 발생시켰다. 이제 국민이 나서서 현재주소와 새로운 도로명 주소가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하고 적극 동참해 도로명 주소를 사용해야 할 시점에 서 있다. 오랫동안 현재의 지번주소를 사용해왔기 때문에 새로운 도로명 주소가 당장은 부자연스럽고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선진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꼭 필요한 사업인 만큼 도로명 주소의 조속한 정착을 위해 우리 모두의 관심과 도로명 주소의 생활화가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