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CNG버스 ‘공급’ 에서 ‘관리’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

서울시 전체 CNG 버스 전수점검 완료<br>앞으로 안전성 위주의 CNG버스 정책 추진

서울시가 대기질 개선을 위해 ‘보급’위주로 추진해왔던 CNG버스 정책을 안정성 확보를 위한 ‘관리’ 중심으로 전환한다. 서울시는 작년 8월 CNG버스 폭발 사고 이후 시내에서 운행 중인 7,000여대의 CNG버스의 전수점검을 마치고, 항구적인 안전관리대책인 ‘CNG버스 일상점검 지침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CNG버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지난 4월 18일부터 7월 30일까지 약 3개월 간 버스제작사, 운수회사 합동으로 서울 시내에서 운행 중인 CNG 버스 7,426대에 장착된 연료장치와 내압용기 5만1,982개를 특별 검사했다. 점검 결과 총 658건의 보완사항이 발견돼 신속하게 조치에 나서 일부를 완료하고 나머지는 조치 중에 있다. 보완 사항을 항목별로 보면 시동이 꺼졌을 때 가스공급을 차단해주는 고압차단밸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사례가 483건으로 전부 새 부품으로 교체했다. 내압용기의 경우 외관 상태를 점검한 결과 123개(전체 용기수의 0.2%)에서 수분·염화칼슘 등의 영향으로 녹이 발견돼 이달 말까지 새 것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가스 주입구에 미세먼지와 이물질이 들어갈 수 없도록 한 충전구 고무마개 소실이 19건 발견돼 현장에서 바로 달았고, 미세한 가스누출 33건도 조치를 완료했다. 시는 이번 전수점검에 그치지 않고 항구적인 CNG버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점검’과 ‘체계적 관리’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CNG버스 일상점검 지침 시스템’을 마련해 지난달부터 시행하고 있다. 시는 그동안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 했던 버스 내압용기의 뒷부분까지 점검할 수 있는 점검장비를 자체 개발해 66개 시내버스 회사에 1~2대 씩 총 80대를 보급했다. 버스 회사들은 앞으로 이 장비를 활용해 2개월마다 한 차례씩 CNG용기를 정밀 점검하게 된다. 또, 오는 11월부터는 개정된 자동차관리법 상 ‘CNG버스의 내압용기 정기 재검사 제도’가 의무화돼 3년마다 내압용기의 재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시는 교통안전공단과 함께 강동 공영차고지와 노원·상암 교통안전공단 부지에 재검사 시설 설치를 준비 중에 있다. 권오혁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버스관리과장은 “지난 1년 간 시민의 안전에 중점을 두고 CNG버스의 지속적인 점검·관리 및 제도 보완을 해왔다”며 “CNG버스 안정성 확보로 시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시내버스를 공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