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재정악화 서울 자치구 직원 복지비는 '펑펑'

복지포인트 13%나 인상<br>1인당 평균 225만원 지급<br>용산 최다… 영등포·중구順


재정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서울시내 자치구들이 직원들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선택적 복지비(복지포인트)'를 대폭 인상해 논란이 일고 있다. 복지포인트는 근무연수∙부양가족 수에 따라 공무원에게 포인트를 준 뒤 연금매장이나 병원∙피트니스클럽 등에서 물건을 구입하고 영수증을 제출하면 포인트에 맞춰 현금으로 계산해주는 제도다. 11일 서울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올해 시내 25개 자치구의 복지포인트는 총 765억원으로 지난해의 675억원보다 13.3%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 직원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난해 208만1,000원(2,081포인트)에서 올해 약 225만9,000원(2,259포인트)으로 늘어났다. 이 같은 금액은 행정안전부가 지난 2009년 632억원(1인당 1,910포인트) 수준으로 관련 예산을 동결하도록 지시했음에도 불구하고 2년간 21% 인상된 것이다. 직원 1인당 복지포인트를 가장 많이 배정(계획)한 자치구는 용산구로 연간 242만9,000원이었으며 이어 영등포구(242만1,000원), 중구(241만4,000원), 성동구(240만8,000원) 등의 순이었다. 2009년 대비 인상률을 보면 동작구가 164만2,000원에서 203만6,000원으로 2년 동안 47% 올랐으며 동대문구가 180만원에서 232만원으로 34%, 도봉구가 180만7,000원에서 221만5,000원으로 28%나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2009년 이래 1인당 지급액을 173만원 수준으로 동결했다. 자치구의 한 관계자는 "공무원 임금이 최근 2년간 동결되면서 직원들의 사기가 많이 떨어졌는데 대부분의 자치구들이 사기진작 차원에서 복지포인트를 상향 조정했다"며 "배정된 금액과 실제 집행금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시민단체의 관계자는 "공무원의 사기를 올려주자면서 결국 편법으로 임금을 더 올린 것 아니냐"고 비난했다. 한편 올해 자치구 예산운용 계획에 따르면 7개 자치구는 재정상황이 어렵다면서도 콘도 회원권 31구좌를 구입하는 데 9억6,700만원의 예산을 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자치구가 보유한 콘도미니엄 회원권, 수련원 등 휴양시설은 모두 1,419실 규모로 직원 21명당 1실을 보유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