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권 지난해 2조3천억 적자

은행들의 지난 한해 순익이 `카드부문 손실`을 덮기에도 턱없이 모자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조흥ㆍ외환은행의 지난 해 결산 결과에 우리ㆍ신한ㆍ외환카드의 적자를 포함해 계산하면 순손실규모가 무려 2조3,069억원에 이른다. 각각 1조3,322억원과 1조4,304억원의 적자를 낸 우리카드와 외환카드는 오는 3월말 모은행에 합병을 하도록 돼 있어 은행권은 올해에도 남은 `카드 빚(카드사업부문의 손실)`을 메우는데 영업이익을 쏟아 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카드가 문제다=어려운 경제사정에도 불구하고 지난 한해 은행권이 벌어들인 수익은 결코 적은 편이 아니다. 우리은행이 1조3,32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낸 것을 비롯해 하나은행 5,172억원, 신한은행 4,760억원의 순익을 올렸다. 국민은행과 조흥은행은 적자규모가 각각 6,188억과 9,660억원이나 됐지만 카드부문의 부실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무려 4조393억원과 2조3,000억원씩 적립한 데 따른 것이다. 외환은행도 8,792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1조4,304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외환카드의 지분법 평가손이 반영돼 적자규모가 2,138억원으로 늘었다. 분사돼 있는 카드부문의 실적을 더할 경우 심각하다. 은행과의 합병이 예정돼 있는 우리카드와 외환카드는 지난 한해 1조3,322억원과 1조4,30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신한카드도 898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신용카드 부문 부실이 가장 적은 하나은행도 2,500억원의 카드관련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결국 카드사업이 은행 실적악화의 주범인 셈이다. 올해 순익을 얼마나 내느냐도 카드부문의 부실이 얼마나 추가로 늘어나느냐에 달렸다. ◇은행 수익기반은 `튼튼`=카드사업을 제외하면 은행권의 기초체력은 아직 튼튼하다.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 비율에서 조흥은행이 8.8%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은행들이 10%를 넘어서 있다. 우리은행이 11.3%, 하나ㆍ신한ㆍ국민은행이 각각 11.1%, 10.47%, 10.09%를 기록했다. 충당금적립전 이익도 국민ㆍ우리은행이 4조5,315억원과 2조8,000억원 하나ㆍ조흥ㆍ신한은행이 각각 1조3,910억, 1조2,503억, 1조1,739억원으로 대다수 은행들이 1조원을 넘었다. 금융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전체적인 실적부진에도 불구하고 지난한해 은행권의 영업이익은 오히려 2002년보다 더 많았다”며 “올해 경기가 활성화 될 경우 은행권은 지난 2002년에 버금가는 실적을 올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관련기사



조의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