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즐거운 한가위/교통정보] 막히는 길은 우회로 이용 "빠르게"

평택∼충주·서안성∼남안성등 지난달 31일개통<br>부여∼논산등 20개국도구간 7일간 임시 소통도


추석 연휴 귀성길은 우회로나 임시 개통된 도로를 활용하면 한결 편안하게 고향에 다녀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향길을 출발하기 전에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www.ex.co.kr)나 교통정보포털사이트(www.roadplus.com), ARS(1588-2505) 등을 이용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확인한 후 출발시기와 이용노선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교통정체 예상구간은 우회도로 활용을= 건설교통부는 국도ㆍ지방도 우회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안내지도 70만부를 주요 톨게이트에서 배포하고 우회도로 안내 입간판 188개를 설치해 혼잡 구간을 피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경기지역의 경우 국도43호선 화성 봉담 상리~화성 봉담 수영리(2.4km) 구간의 정체가 예상돼 반고개(국도43)→와우리교회앞사거리(지방도84)→수영사거리(국도43) 구간 우회도로를 이용하면 되고 국도 47호선 구리 사농~남양주 진접(6.0km) 구간도 우회도로인 퇴계원IC(고속국도100)→별내IC(군도1)→광전IC(국도43)→내곡IC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 영동고속도로 호법~문막~원주~새말IC(65.3km) 구간은 이천(국도42)→여주(국도42)→원주(국도42)→새말IC로 우회하면 되며 국도3호선 장호원~충주~수안보 구간은 우회도로인 충주 용관동(지방도525)→조양자동차학원앞→수주팔봉→중앙경찰학교→수안보를 이용하면 된다. ◇공사중인 도로 임시개통= 건교부는 올 추석 기간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부여~논산 등 20개 국도 구간 148.7km를 21일부터 27일 자정까지 7일간 임시 개통한다. 국도 임시개통 구간은 서울ㆍ경기지역의 경우 국도 37호선 파주시 파평면 두포리~적성면 두지리(10.6 km), 여주군 여주읍 홍문리~대신면 가산리(9.8 km) 등이다. 또 대전ㆍ충청지역은 국도 4호선 부여~논산, 40호선 부여~탄천, 32호선 예산~신양, 17호선 진천~두교리, 21ㆍ45호선 행목~중방 구간이 임시 개통된다. 전라지역에 임시 개통되는 구간은 국도 22호선 영광~해보, 13호선 대전~담양, 17호선 중흥~왕지, 2호선 월전~세풍, 17호선 주생~광치, 산단진입도로 군산~대전, 27호선 녹동~도덕, 27호선 도덕~고흥 등이 있다. 경상지역에서는 3호선 마리~송정, 3호선 함창~불정, 31호선 울산~강동, 33호선 합천~쌍림, 19호선 전도IC~신월 구간이 임시 개통된다. 건교부는 아울러 추석 연휴기간 긴급을 요하는 공사 외에 본선을 차단하는 공사를 중지하는 등 고속도로의 소통 장애요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서안성~남안성IC 등 신설 개통= 도로공사는 평택~충주간 고속도로 서안성~남안성IC(10.2km) 신설공사 구간이 지난 8월31일 개통돼 이 지역 교통소통이 보다 원활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영동고속도로 상습정체구간인 여주~만종간 교통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인천방향 여주IC~여주JCT 구간(5.6km)의 갓길을 활용, 기존 2차로를 3차로로 탄력 운영할 계획이다. 갓길차로 이용대상은 승용차에 한하며 지정체 발생시 도로전광표지(VMS), 교통방송, 차로제어시스템(9개소)을 활용해 탄력적으로 도로용량을 증대하고 교통안전에 대비 비상주차대 3개소를 설치ㆍ운영한다. 이와 함께 지난해 말 고창담양간고속도로 장성~담양구간(25.3㎞)을 신설 개통하고 경부고속도로 영동~김천(47.2㎞, 4→6차로), 88올림픽고속도로 고서~담양(16.3㎞, 2→4차로), 옥포~성산(13.3km, 2→6차로) 구간을 확장 개통해 이 지역의 교통소통이 다소 원활할 것으로 보인다. 연휴 동안 교통체증 예상되는 고속도로 건설교통부는 올 추석 연휴 동안 정체가 예상되는 고속도로 구간을 발표하고 추석 이동경로를 선택하는데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이들 정체 예상 구간에는 우회도로 안내 입간판이 설치되고 갓길운행차량 단속 등 순찰이 강화될 방침이다. 다음은 정체가 예상되는 주요 구간. ◇경인선 ▦부평IC~서인천IC(3.8km, 인천방향) ▦부천IC~신월IC(3.9km, 서울방향) ◇서울외곽선 ▦시흥IC~서운JC(10.3km, 일산방향) ▦계양IC~장수IC(8.7km, 판교방향) ▦상일IC~하남JCT(2km, 판교방향) ▦구리IC~퇴계원IC(3km, 퇴계원방향) ▦안현JCT~조남JCT Ramp-E(9.2km, 판교방향) ◇서해안선 ▦서서울T/G~금천IC(12.7km, 서울방향) ▦목감IC~서서울T/G(4.7km, 목포방향) ▦안산JC~비봉IC(13.4km, 목포방향) ▦서평택IC~매송IC(31.9km, 서울방향) ▦해미IC~당진JCT(16.0km, 서울방향) ▦목포TG 진출부(5.0km, 목포방향) ▦줄포IC~동군산IC(43.0km, 서울방향) ◇중부선 ▦하남JCT~산곡JCT(8.0km, 통영방향) ▦서이천IC~호법JCT(6.0km, 통영방향) ▦곤지암IC~산곡JCT(17.0km, 하남방향) ▦일죽IC~호법JCT(17.2km, 하남방향) ◇제2중부선 ▦서이천IC~호법JCT(6.0km, 통영방향) ▦호법JCT~서이천IC(5.0km, 하남방향) ◇경부선 ▦양재IC~안성IC(55.7km, 부산방향) ▦안성IC~양재IC(55.7km, 서울방향) ▦천안JCT~천안IC(7.0km, 서울방향) ▦망향SA~안성IC(16.0km, 서울방향) ▦금호JC~도동JC(13.2km, 서울방향) ▦도동JC~북대구IC(7.7km, 부산방향) ▦서울산~인보BS(11.0km, 서울방향) ▦경주~인보BS(11.0km, 부산방향) ◇중부내륙선 ▦감곡IC~여주Jct(15.0km, 양평방향) ▦문경새재~문경TN(10.7km, 양평방향) ◇영동선 ▦군포IC~신갈JCT(18.3km, 강릉방향) ▦월곶IC~서창JCT(5.9km, 인천방향) ▦반월터널~안산JCT(2.5km, 인천방향) ▦신갈JC~양지TN(17.6km, 강릉방향) ▦이천IC~여주JCT(8.7km, 강릉방향) ▦덕평IC~마성TN(23.4km, 인천방향) ▦여주IC~원주IC(48.0km, 인천방향) ▦여주IC~강천TN(8.0km, 강릉방향) ▦둔내TN 입구(2.0km, 인천방향) ◇중앙선 ▦만종Jct~남원주IC(6.0km, 춘천방향) ▦금대2터널~남원주IC(7.0km, 춘천방향) ▦금호JCT~다부IC(19.6km, 춘천방향) ▦의성IC~칠곡IC(43.0km, 부산방향) ▦대저JCT~대동JCT(10.4km, 양방향) ◇중앙지선 ▦대동JCT~양산JCT(8.2km, 양방향) ◇호남선 ▦익산IC~여산(휴)(6.5km, 회덕방향) ▦익산IC~서전주IC(20.0km, 순천방향) ▦정읍SA~정읍IC(3.5km, 순천방향) ▦광산IC~동광주TG(15.0km, 순천방향) ▦김제IC~익산IC(27.0km, 천안방향) ▦동광주TG(2.0km, 천안방향) ◇88선 ▦고령IC~동고령IC(13.0km, 대구방향) ◇구미선 ▦서대구IC~화원IC(11.4km, 양방향) ◇익산포항선 ▦청통와촌IC~와촌TN(7.5km, 대구방향) ◇남해선 및 마산외곽선 ▦창원JCT~군북(34.0km, 순천방향) ◇남해선 ▦문산~산인JCT(36.0km, 부산방향) ▦진례~구포(20.0km, 부산방향) ◇남해지선 ▦장유~서부산종점(17.0km, 부산방향)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