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입주 가까울수록 프리미엄 하락 '기현상'

부동산시장 침체와 경기 불황으로 아파트 분양권프리미엄이 입주가 임박할수록 오히려 적게 붙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분양권 프리미엄은 계약 직후부터 꾸준히 오르다가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몰리는입주 시점에서 가장 높게 형성된다는 시장의 법칙이 깨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세로 살고 있는 집이 빠지지 않는 등의 이유로 잔금 치를 돈을 마련하지못해 분양권을 다소 싸게라도 내놓는 이들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6일 부동산정보업체 네인즈(www.neins.com)에 따르면 25일 기준으로 연내 입주하는 서울 아파트의 분양권 시세는 지난 5월초에 비해 1.26% 오르는데 그친 반면 내년 상반기 입주하는 아파트는 2.31% 올라 입주가 임박할수록 오히려 상승률이 낮았다. 프리미엄이 많이 붙었던 일부 입주 임박 단지는 프리미엄이 떨어지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다음달 입주 예정인 송파구 문정동 삼성래미안의 경우 대기업 브랜드에 단지규모(1천696가구)도 커 수억원대의 프리미엄이 형성됐지만 최근 조금씩 빠지고 있다. 분양가가 2억4천200만원인 33평형의 경우 지난 6월까지만 해도 로열층의 경우웃돈이 3억원정도 붙었지만 7월 이후에는 1천만원 정도 하락했다. 내림폭이 크지는 않지만 입주를 눈 앞에 둔 유망 단지에서 프리미엄이 떨어지는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인근 S공인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아서인지 잔금 부담때문에 분양권을 내놓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25일부터 입주에 들어간 강동구 암사동 현대홈타운도 33평형의 경우 줄기차게붙던 웃돈이 7월 이후 1천500만원 정도 빠졌다. 경기도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오는 11월 입주 예정인 용인시 죽전동 포스홈타운 1단지와 건영캐스빌은 지난 6월 이후 웃돈이 전혀 붙지 않고 있다. 네인즈 관계자는 "불황때문에 분양권 프리미엄이 붙는 패턴이 달라지고 있다"면서 "하반기에 입주 물량이 많은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