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들 대부분 "주5일근무 반대"

기업들 대부분 "주5일근무 반대" 경총 설문대상 444社 89%나 대부분의 기업이 법정 근로시간 단축(주 5일 근무제)에 반대하며 연ㆍ월차휴가 사용, 임금할증률 조정 등을 통해 실근로시간(실제 일하는시간)을 줄이는게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최근 전국 444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업체의 53.7%가 '근로시간 단축에 반대한다'고 답했고, 35.6%는 '임금삭감과 휴일ㆍ휴가제 개선이 전제될 때 가능하다'고 답해 89.3%가 현시점과 조건에서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고 13일 밝혔다. 중소기업의 반대율(58.9%)이 근로자 300명 이상 대기업(48.9%)보다 높았다. 또 연ㆍ월차휴가, 생리휴가 사용률이 33.3~43.2%에 그쳐 근로자들이 여전히 휴가 미사용분에 대한 수당을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경총은 밝혔다. 초과근로와 관련, 업체들은 '근로자들이 수당 때문에 마지못해 한다'(44.3%)거나 ㆍ수당을 받기 위해 오히려 선호한다'(22.3%)고 응답, 근로자들이 일하는 시간 줄이기보다 임금 더 받기에 높은 관심이 있음을 뒷받침했다고 경총은 해석했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대책으로 ▦외부 하도급 및 아웃소싱 활용 34.2% ▦비정규직 확대 33.3% ▦현인력 유지 26.1% 등을 들었고, 주5일제 근무 도입시기는 ▦정부기관ㆍ은행ㆍ학교 시행, 민간기업은 자율 40.5% ▦정부기관, 학교, 은행, 기업 순 단계적 시행 27.3% ▦정부ㆍ기업ㆍ학교 일시 시행 25.9% 등을 제시했다. 경총은 결론적으로 근로시간 단축에 앞서 월차휴가 폐지, 임금할증률 하향조정,연차휴가 한도설정, 생리휴가 폐지 등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