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미·중 변수와 가계부채, 한국금융 흔들 변수

한은, 국내외 금융 전문가 90명 설문

우리나라 금융의 위기를 일으킬 위험 요인으로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조기 금리 정상화 포함)와 가계부채 문제, 중국의 경기 둔화가 꼽혔다.

한국은행은 국내외 금융기관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를 한 결과 이들 3개 요인이 핵심리스크(응답자의 50% 이상이 인식하는 리스크)로 꼽혔다고 16일 밝혔다.


시스템적 리스크는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환율, 주가 등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제까지 타격을 주는 것을 뜻한다. 한은은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는 2012년부터 실시해 연 2회 발표하고 있다.

관련기사



조사 결과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70%)는 1년 이내의 단기 리스크로 영향력은 크지만 실제 시스템적 리스크를 야기할 가능성은 중간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가계 부채(67%)는 1∼3년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중기 리스크. 발생 확률도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지목됐다. 중국의 경기 둔화(64%)는 중·단기 리스크로 발생 확률이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평가됐다.

조사 대상 기관별로 응답에는 차이가 났다. 은행 부문 응답자는 가계부채 문제(68%)에 대한 응답 비중이 가장 높았고 비은행부문 응답자는 가계부채 문제(82%), 금융기관 수익성기반 약화(65%)에 대한 응답률이 높았다. 금융시장 참가자는 미국 양적완화 종료(80%)와 중국경기둔화(69%)에 대한 우려가 가계부채 문제(60%) 보다 높았고 해외 조사대상자는 유로지역 경제부진(63%), 지역분쟁증가(44%) 등 글로벌 영업환경 영행에 미치는 요인의 응답 비중이 컸다.

한편 지난 2월 조사와 비교해보면 지난 조사에 리스크로 포함됐던 ‘신흥국 금융 불안’은 주요 리스크에서 제외됐다. 또 주요 리스크에 대한 응답비중은 모두 하락했지만, 2월과 다르게 가계부채 문제를 우려하는 응답(70→67%)이 중국경기둔화(72→64%)를 꼽은 응답율을 앞섰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