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로이터 ‘전세계, 유로 위기 대응 장기전 돌입’

"美도 유로 위기 충격 본격화"

유로 위기가 쉽사리 해결되기 힘들 것이란 관측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미국, 아시아 및 중남미가 장기전에 돌입했다고 로이터가 14일 분석했다. 로이터는 아시아와 중남미의 여러 나라가 이미 금리를 내리는 등 유로 위기발 충격 극복에 착수했으며 선진권에서도 호주와 캐나다에 이어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연준)가 `3차 양적 완화'(QE3)를 시사하는 등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인도, 브라질 및 호주가 이미 금리를 내렸으며 멕시코와 칠레도 유동성 확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미 연준 역시 캐나다, 영국, 일본, 스위스의 중앙은행들 및 유럽중앙은행(ECB)과 각각 통화 스와프 협정을 맺었으며 지난주에는 유로권과 일본에 대해 이 채널을 가동시켰다. 세계은행의 수리 물랴니 인드라와티 국장은 “유로 위기가 쉽게 해결되기 힘들 것이란 관측에 따라 각국이 장기 대응 모드에 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호놀룰루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동에서 회견하면서 "유로 위기 해결이 매우 힘든 과정이 되고 있기 때문에 유럽 경제 약세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모두가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상대적으로 재정이 양호한 경우는 감세와 지출 증대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일부 국가의 경우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 부양을 시도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인드라와티는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은 유로 위기 충격에 어느 정도 버틸 여지가 있다면서 그러나 "위기가 6~12개월 안에 해결되기보다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한편 AP는 유로 위기 파문이 미국에서도 느껴지기 시작했다면서 자동차, 태양열판, 제약, 의류 및 컴퓨터 장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충격이 보고되고 있다고 전했다. 웰스 파고의 마크 비트너 이코노미스트는 "미 경제가 매우 취약한 상황에서 유로 위기 충격이 부정적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AP는 유럽연합(EU)이 미국의 1위 교역 상대라면서 올들어 첫 9개월간 공산품 교역이 근 4,750억달러에 달했음을 상기시켰다. 미 500대 기업 매출의 약 14%인 1조3,000억달러도 유럽에서 창출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EU는 지난주 유로권이 내년에 "심각한 장기 침체"에 빠질 경우 성장이 0.5%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봄 예상치 1.8%에서 크게 낮아진 것이다. 웰스 파고는 유로 위기 영향으로 미국의 내년 성장이 당초 예상치보다 0.4%포인트 낮은 2.1%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 삭스는 유로 충격으로 미국의 성장이 1%포인트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AP는 유로 위기가 미 경제에 다양한 충격을 가할 것이라면서 증시 침체로 소비가 더 위축되고 유럽 비즈니스 비중이 큰 미 기업의 매출 및 수익 감소, 그리고 이탈리아와 그리스 등 유로 위기국 채권을 많이 가진 미국 다국적 은행이 현금에 더 집착해 여신이 크게 위축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