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농 긴급자금규모 제출안해”/서울은 이동만 상무 일문일답

◎2금융권서 계속 자금돌려 서둘러 선정대농그룹의 주거래은행인 서울은행의 이동만 상무는 19일 하오 2시15분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현재 자구노력을 보이고 있는 대농그룹이 부실화될 경우 협력업체 및 납품업체의 연쇄도산이 우려되고 진행중인 공사가 중단되는 등 사회·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해 4개 계열사를 금융기관협약에 따른 정상화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다음은 이상무와의 일문일답. ­통보대상 채권금융기관 수는. ▲은행 23개, 종금 24개 등 모두 47개 금융기관이다. ­제1차 대표자회의에는 이들 47개 금융기관이 모두 참석하나. ▲금융기관협약에 따라 28일 열리는 대표자회의에는 23개 은행만 참석한다. ­대농그룹의 21개 계열사중 대농등 4개사만 협약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대농과 미도파가 전체 계열사 매출액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대농중공업과 메트로프로덕트는 미도파 주식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주력기업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협약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필요했다. ­대농측에서 요청한 긴급자금지원 규모는. ▲이번 조치가 갑작스럽게 이루어져 아직 긴급자금지원규모를 제출하지 않았다. ­갑자기 대농을 지원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제2금융권에서 계속 자금을 돌린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지원대상선정을 누가 먼저 제안했나. ▲지난주 토요일(17일) 대농측에서 실무진을 통해 요청해 왔다. ­당시 4개 계열사를 명시적으로 거명했나. ▲그렇다. ­제1차 대표자회의에서 주로 논의할 사항은. ▲유예기간, 채권징수관계(포기각서 등), 긴급자금지원규모 등이다. ­자본잠식상태인 대농이 회생가능하다고 보나. ▲유예기간동안 신용평가기관에 의뢰해 평가를 받아봐야 한다. 평가기간은 2∼3개월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유예기간동안 물대와 관련된 어음은. ▲협약에 따라 유예기간중 모든 어음은 부도처리되고 앞으로 긴급지원자금이 결정되면 이것으로 지원된다. ­이번 대농의 지원대상 선정과 관련, 사전에 다른 채권금융기관들과 상의했나. ▲자금문제는 시각을 다투는 것이기 때문에 사전에 다른 기관과 협의하기가 곤란했다. 오늘 상오 열린 이사회에서 전격 결정됐다. ­재경원에는 통보했나. ▲한 적 없다.<이형주>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