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與, 신공항 쓰나미로 '문책론'에 내홍 조짐마저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정부 인사 문책론이 한나라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당 지도부가 공식석상에서 내각과 참모들을 직ㆍ간접적으로 거론하며 책임론을 꺼내 든 것이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31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세종시 사태에서 봤듯이 정부 정책의 수행과 집행과정이 미숙하고 거칠다”며 “대통령을 모시는 분들 즉 내각과 참모들의 잘못이 반복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홍 최고위원은 특히 최근 논란이 됐던 정부 정책의 사례를 일일이 열거하면서 질타를 이어갔다. 그는 한ㆍ유럽연합 자유무역협정(FTA) 협정문 번역오류, 외교관 상하이스캔들, 구제역 파동, 4ㆍ27 성남 분당을 공천 파동을 언급한 뒤 “모든 것을 보면 정부와 여당이 당당 하지 못하다”며 “(이래서야)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우리가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고 꼬집었다. 김무성 원내대표도 문책론에 가세했다. 김 원내대표는 “대형 국책사업에 안이하게 대처한 정부 책임이 크다”며 “(입지) 선정기간을 길 게 끌면서 문제를 확대시킨 것은 정부 당국자가 책임져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을 포함 한 국토해양부 공무원을 겨냥, “정치권의 비합리적 외압에 굴복해 예천ㆍ청주ㆍ무안ㆍ양양ㆍ울진 공항을 건설해 제대로 가동하지 못한데서 오는 국익의 엄청난 손실을 일으킨 장본인”이라고 사실상 이들에 대한 문책을 요구했다. 서병수 최고위원은 “분명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대통령의 공약을 작성한 책임자에게 책임을 묻고, 정책결정의 기회를 놓쳐 혼란을 가중시킨 정책 책임자도 문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안상수 대표가 급히 진화에 나섰다. 안 대표는 “정치권에서 더 이상 논란을 일으키는 것은 국익과 국가장래에 도움이 안된다는 사실을 인식해 차분한 마음으로 보완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영남지역 여론을 감안한 듯 안 대표는 “실망과 아쉬움이 크겠지만 정부가 국가장래를 생각해 고심해서 내린 결정인 만큼 넓은 마음으로 받아주시길 바란다”고 양해를 구했다. 나경원 최고위원은 “위기이고 혼란일수록 원칙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공약이 바뀌는 것에 대해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소상하게 말 씀하셔서 국민을 설득해 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로 인한 영남권 여론이반이 심상치 않은 데다 박근혜 전 대표마저 ‘신공항 추진 필요성’을 역설하고 나서 이래저래 여권은 내홍에 휩싸이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