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안 쓰고 자제하다 보니 봄철 관광특수를 기대했던 관광·여행업계는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아 계약직 직원들을 해고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 국내 최대 여행사인 하나투어의 4~6월 예약건수가 지난해와 비교해 반토막이 났고 경주나 제주도를 포함한 관광지 유스호스텔 등 숙박업소와 주변 식당, 전통시장까지 타격을 받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다.
문제는 이들 피해 업종이 서민경제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단체여행이나 마케팅 행사로 먹고사는 레크리에이션 강사나 교육 담당 조교 등은 일년 중 얼마 되지 않는 성수기임에도 일감이 뚝 끊겨 실업자 신세로 전락할 처지다. 대형 행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100여명의 아르바이트생을 뽑았으나 참사 이후 관련 일자리마저 사라지고 있다.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음에도 추모 분위기를 의식해서인지 모두 냉가슴만 앓고 있는 형편이다
세월호 참사 수습과정이 장기화하면서 음식·숙박·여행·소매 업종에 종사하는 서민들이 이처럼 한계상황에 몰리고 있다. 국가적 추모 분위기라고 해도 서민경제는 돌아가야 한다. 서민의 일상생활까지 희생자 애도에 얽매이게 놓아둬서는 안 된다. 위축된 소비심리를 방치할 경우 지방경제가 마비되고 이는 국가경제 회복 지연으로 이어져 또다시 서민경제 피해를 증폭시킬 수 있는 만큼 대응책이 시급하다. 공공 부문부터라도 일상적 수준의 출장이나 여행은 허용하는 등 평소의 경제활동을 계속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면 기업이나 일반 소비자들도 자연스레 소비활동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부양책을 마련하는 게 바람직한 수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