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계열사 펀드 몰아주기 판매 제동건다

금융위, 계열사 판매 비중 제한 등 추진 은행과 보험, 증권 등 금융회사가 펀드를 판매하면서 계열 운용사의 상품을 집중적으로 팔아주는 것에 대해 금융위원회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4일 “펀드 판매사들이 계열 운용사의 펀드를 집중 판매하는 것은 투자자의 이익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는 판매사 역할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일종의 독과점 행위이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계열사 밀어주기 관행이 심화되면서 독립운용사가 살아남을 수 없는 구조”라며 “계열사 펀드를 팔 때 더 많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불공정 행위가 있는지를 면밀히 들여다 보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7월말 기준 자산 운용사들의 계열사 펀드 판매 비중은 평균 38.13%에 달한다. 특히 은행 계열사를 거느린 운용사들의 판매사 의존도가 높다. 실제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의 계열사(신한은행ㆍ신한금융투자) 판매 비중은 73.62%에 달했고 KB자산운용(71.18%), 하나UBS자산운용(63.70%), IBK자산운용(69.82%) 등 은행계열 운용사 모두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판매사별로 보면 신한은행(71.18%)과 국민은행(50.84%), 삼성생명(53.88%), 미래에셋생명(95.18%), 삼성생명(53.88%), 미래에셋증권(74.49%), KB투자증권(57.75%) 삼성증권(55.33%) 등 12개 회사가 계열 운용사 펀드의 판매 비중이 50%를 넘었다. 계열사 몰아주기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는 계열 운용사 펀드의 판매 비중 상한을 두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판매 비중 상한선을 30% 수준으로 제한할 경우 계열운용사가 있는 36개 판매사 가운데 총 23개 회사가 제재 대상이 된다. 이밖에 계열 운용사 펀드를 팔 때 직원들에게 제공하던 인사고과 인센티브 등도 제한할 가능성도 크다.. 금융위는 이와 함께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을 받아 온 펀드 판매 보수를 낮추는 문제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