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원전건설 속도조절

중국 정부가 일본 원전사태 이후 원자력 ‘안전’에 초점을 맞추면서 원전건설 목표가 상당부분 낮춰질 것으로 전망됐다. 29일 중국 인터넷신문인 차이신(财新)에 따르면 웨이자오펑(魏昭峰) 중국전력기업연합회 부이사장은 “중국 정부의 원자력 정책이 원전건설 확대보다 원전 안전에 무게중심을 두면서 향후 10년간 원전 건설계획이 늦춰지고 목표가 하향 조정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당초 계획했던 신규 원전건설 계획이 보류되거나 늦춰지면서 2020년까지 원자력 에너지 비중이 3%를 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일본 방사능 유출사태 이전까지만 해도 현재 1.9%인 원자력 에너지비중을 2020년까지 15%로 늘린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운바 있다. 그는 또 “내륙에 원전을 건설한다는 당초 계획이 이번 일본 원전 사태로 당분간 실현 자체가 불투명해졌다”고 말했다. 원전 유출 등 비상사태 발생시 원자로 냉각을 위한 바닷물 등이 필요한데 해안이 아닌 내륙 원전에서 사고가 날 경우 대처가 힘들어 방사능 유출 확대위험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일본 원전 사태에 따른 방사능 유출 공포가 확대되자 새로운 안전 기준이 마련될 때까지 신규 원전 건설 승인을 보류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원 총리의 이 같은 조치는 중국 정부의 원자력 정책이 기존의 건설 확대 일변도에서 ‘안전’쪽으로 무게 중심을 바꾸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현지 에너지 전문가들은 해석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국가핵안전국 직원을 현재의 300명에서 2012년까지 1,200명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히는 등 원자력 안전성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