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새누리당의 모바일 실험, 성공할까

새누리당이 최근 모바일 정당인 ‘크레이지 파티’(이하 크파: crazy party)를 도입한 것을 두고 정치권은 새롭다는 반응이다.

크파에 비례대표 국회의원 2명을 공천하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했기 때문이다. 이는 일반 국민이 실질적으로 공천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여권의 이 같은 시도가 성공할 경우 모바일 정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파격적인’ 권한에 알맞게 새누리당은 모바일 정당을 온라인 당협으로 인정하고 모바일 여론을 당 지도부에 전달하는 제3사무부총장도 신설하기로 했다.

크레이지 파티를 기획한 조동원 홍보본부장은 “지금은 모바일 시대로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인구가 PC를 통해 접속하는 인구를 넘어선지 오래다. 적극적으로 모바일 유저와 소통하고 모바일 여론을 반영하는 정당만이 살아남는다”면서 “국내 최초의 모바일정당 ‘크파’를 통해 대한민국과 새누리당 혁신의 신호탄을 올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이 같은 시도가 한국 정치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 전망은 아직 불투명하다.

앞서 야권에서 핸드폰에 의한 투표를 실시하면서 모바일 정치의 부작용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민주통합당의 국회의원 경선 당시 모바일 선거인단 모집에 부담을 느낀 선거운동원이 불법 모집 파문 끝에 사망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이어 당 대표를 뽑는 경선에서는 이해찬 후보가 당원 선거에서 지고도 20대, 30대의 모바일투표에 앞서 당선이 확정돼 ‘모발심’(모바일로 나타난 민심)의 왜곡 논란이 불거졌다.


이는 당초 직접 민주주의의 수단으로서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온 모바일 경선에 대해 당내 반감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했다. 결국 민주당은 모바일 경선을 폐지했다.

관련기사



이 같은 사례를 참고할 때 새누리당의 새로운 시도 역시 시민들의 저조한 참여와 편향된 모바일 여론 반영이라는 문제를 극복해야 목표로 한 ‘직접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도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야권의 한 관계자는 “새누리당의 모바일 정당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시민들을 얼마나 많이 모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모바일 정당의 비례대표 공천권한에 대해 과도하다고 보는 당내 시각도 부담이다.

지난 12일 모바일정당의 설치를 의결한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는 모바일 정당의 공천권을 두고 당 지도부 간에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애초 비례대표를 10위권 내 배치하기로 한 조항이 당선 안정 가능권 내 배치로 문구가 조정됐다. 이마저도 의무 조항이 아닌 임의 조항으로 규정됐다.

모바일 정당에 대한 개혁 동력이 다음 총선이 열리는 2016년 전에 꺾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배경이다.

이에 대해 조 홍보본부장은 “(크파의 비례대표 권한은) 새누리당이 얼마만큼 모바일 정당에 대한 관심과 의지를 갖고 있는 바로미터라고 본다”면서 “여러 가지 열띤 토의와 반발이 있었지만 당헌까지 개정해서 의결했다는 것은 당의 색을 빨간색으로 바꾼 것에 버금가는 혁신이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결국 모바일 정당의 성공 여부는 모바일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당 지도부와 일반 시민들로부터 얼마나 전폭적인 지지와 관심을 받느냐에 달려 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모바일 정당 시도는)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려고 하기 위한 것으로 앞으로 시행착오를 거칠 텐데 (당이) 촘촘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