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애플 단말기 판매가중 5~7%는 한국기업 몫

애플의 스마트단말기인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1대 팔릴 때마다 판매가격의 5∼7% 정도가 삼성전자ㆍLG전자 등 부품을 제공하는 한국 기업들의 이익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제품 조립을 담당하는 중국 기업들이 얻는 이익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 등에 공개된 '애플 아이폰ㆍ아이패드에 대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이익배분 현황'이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밝혀졌다. 이 논문은 UC버클리ㆍUC어바인ㆍ시라큐스대가 지난 7월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다. 논문에 따르면 2010년 아이폰 판매가격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차지한 것은 애플로 무려 58.5%나 됐다. 애플은 제품 디자인, 소프트웨어 개발, 제품 관리와 마케팅 등을 책임지고 있다. 이어 각종 부품 투입비용이 21.9%였고 한국 기업들의 이익(4.7%), 중국을 제외한 노동력 투입비용(3.5%), 애플 이외 미국 기업의 이익(2.4%), 중국의 노동력 투입비용(1.8%), 유럽 기업들의 이익(1.1%), 일본 기업들의 이익(0.5%), 대만기업들의 이익(0.5%), 출처가 확인되지 않는 이익(5.3%) 등의 순이었다. 아이패드의 판매가격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투입되는 각종 부품비용으로 전체의 31%였다. 이어 애플 이익(30%), 제품 유통ㆍ판매(15%), 한국 기업들 이익(7%), 중국 이외 노동력 투입비용(5%), 중국 노동력 투입비용(2%), 애플을 제외한 미국 기업들의 이익(2%), 대만 기업들의 이익(2%), 일본 기업들의 이익(1%),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이익(5%) 등이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