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계 관치금융 반발 확산/외환은 행장선임 실패

◎은행노조 청와대 항의방문 “파업불사”정부가 한보사태관련 시중은행장 후임인사에 개입하자 금융계가 강력 반발하는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30일 외환은행 비상임이사회가 재경원의 인사개입에 반발, 논란끝에 회의를 연기해 관치금융에 대한 은행권의 반발이 가시화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또 외환은행 노조원들이 외압인사를 반대한다며 한때 회의장을 점거하기도 해 재경원의 내정인사가 강행될 경우 물리적 마찰도 예상된다. 외환은행의 홍승희 행장추천위원회 위원장은 후보선정을 연기하게된 배경에 대해 『비상임이사들이 박준환, 조성진 전무와 이장우 캘리포니아코리아뱅크(현지법인) 은행장, 홍세표 한미은행장, 홍희흠 대은금융경제연구소 회장 등 5명의 행장후보를 추천했다』고 밝히고 『이들에 대해 검토할 시간이 필요해 회의를 연기키로 했다』고 말했다. 금융계 인사들은 지난해 「행장추천위원회제도」를 「비상임이사회제도」로 바꾸면서까지 은행의 자율경영체제 구축을 추진해온 점을 감안하면 이번 정부의 은행장 「관치선임」은 금융자율화라는 시대조류에 역행하는 퇴행적인 처사라고 입을 모았다. 각 은행의 비상임이사회도 재경원의 은행장 인사개입에 강한 불만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은행의 자율경영을 위해 도입된 비상임이사회제도가 행장인사에 대한 정부의 개입으로 무력화될 바에야 제도의 존립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 행장선임에 있어서 비상임이사회의 이같은 불만이 어느정도 현실화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정서적으로 재경원의 구시대적 발상에 심한 거부감을 가진 것이 사실이다. 금융계 관계자는 『재경원이 아직도 시대착오적인 발상을 하고 있는 한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은 요원한 실정』이라며 『가뜩이나 어려운 금융환경속에서 정부가 금융기관을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 이런 식으로 발목을 잡아서야 국내 금융기관들이 개방화 자율화시대에 어떻게 생존해 나갈 수 있겠느냐』며 강하게 비난했다. 한편 은행노조들은 지난 27일과 28일 청와대와 은감원을 각각 방문, 항의문을 전달했으며 관치금융이 재연될 경우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노조들은 극단적인 경우 파업도 불사한다는 입장을 정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기형>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