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42년 철권통치 붕괴냐" "내전사태 장기화냐" 최대 분수령

반정부 무장세력 자위야 등 트리폴리 진입 카다피 친위세력도 트리폴리에 집결…반정부 인사 색출 각국 리비아 제재 촉구 벵가지ㆍ미수라타ㆍ토부룩 등 리비아 동부를 완전 장악하고 서부의 자위야까지 뚫고 들어간 반정부 세력이 마침내 수도 트리폴리까지 진입해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 원수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24일(현지시간) 한때 카다피가 측근에게 암살됐다는 루머가 돌면서 국제 원유 시장이 출렁거리기도 했지만 카다피는 이날 또 다시 TV 생중계를 통해 시위대에 대한 더욱 강력한 진압을 예고했고 실제로 트리폴리 도심에 시위대가 나타나자 무차별 사격을 가했다. 무스타바 압델 잘릴 전 리비아 법무장관은 “카다피가 압박을 받을 경우 무슨 짓을 할 지 모른다”며 “남은 것을 모두 불태워버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트리폴리에는 정부군과 민병대, 용병 수천명이 중무장한 채 거리 곳곳을 지키고 있다. 또 카다피의 용병부대인 ‘이슬람 범아프리카 여단’ 소속 2,500명이 리비아 유혈 사태 이후 처음으로 등장했고 비밀 경찰이 민가를 돌며 반정부 관련 인사 색출 작업을 벌이고 있다. 신문은 “반정부 시위대가 세력을 확대하면서 수도를 향하자 카다피 지지 세력들이 트리폴리에 집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반정부 세력이 정부군과 혈전을 벌인 끝에 승리를 거둔 벵가지에서는 이미 현지인들이 주민위원회를 구성해 치안을 비롯해 각종 자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약국과 상점이 다시 문을 열었고 도로의 신호등이 다시 정상 작동하고 있다. 또 반정부 세력은 벵가지, 미수라타에 이어 트리폴리에서 서쪽으로 50㎞ 밖에 떨어지지 않은 자위야 등 트리폴리 외곽 곳곳에서 정부군과 교전을 벌이며 카다피의 목을 점점 죄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내전 상황은 장기화 국면을 맞게 된다. 하지만 카다피는 이미 예고한대로 ‘마지막 피 한 방울까지’반정부 세력을 몰아내는 데 사용할 태세다. 국제 사회가 민간인 학살을 강력히 비난하면서 카다피에 대한 자산 동결, 리비아에 대한 경제적 제재 가능성 등을 예고했지만 여전히 이번 사태의 모든 책임을 시위대 측에 돌리면서 이들을 규탄했다. 심지어 카다피는 시위대가 알 카에다와 빈 라덴의 사주를 받고 마약을 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과거 카다피의 측근이었다 돌아선 리비아 인사들은 카다피의 격한 성격을 고려하면 생화학 무기 사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카다피에 대한 국제사회 제재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는 이날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북대서양이사회(NAC)를 열어 리비아 사태를 논의했으며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NATO 사무총장은 EU 국방장관과 만나 리비아 제재에 협력하기로 했다. AFP통신은 EU가 리비아 영공을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하는 것도 검토중이라고 보도했다. 데이비드 캐머론 영국 총리도 UN 차원에서 제재 방안을 부여하고 카다피 정권이 저지른 대량 학살을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로이터 통신은 트리폴리와 카다피의 고향 시르테, 원유 운송 항구가 있는 라스 라누프, 마르사 엘 브레가 등 네 곳을 카다피의 전략 지역으로 꼽으며, 특히 벵가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시르테가 반정부 세력 손에 들어가면 카다피가 치명타를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