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與 조기 전당대회 논란 확산

일부 친박·개혁성향 의원들 "지방선거전 개최를" 주장<br>"박근혜 前대표 의지 따라 좌우될 가능성 커"

세종시 수정안으로 촉발된 한나라당 내 갈등의 불길이 조기전당대회 논란으로 번지면서 점차 확산될 조짐이다. 허태열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22일 한나라당 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조기전당대회 개최설과 관련해 "친박 입장에서는 조기전대에 대해 어떤 논의도 해본 적이 없고 입장을 가져본 적도 없다"고 밝혔다. 친박계 중진의원인 허 위원의 이 같은 언급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내 일각에서는 조기전당대회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가 줄지 않고 있다. 더구나 일부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세종시 문제와 당내 갈등을 이른 시일 안에 매듭짓기 위해 오는 6월 지방선거 이전에 전당대회를 개최해야 하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당권 도전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 당헌ㆍ당규에 따라 당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을 뽑는 전당대회는 2년마다 치러지기 때문에 일정대로라면 7월 열리게 된다. 친이계 주류에서는 계파 간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조기전대에 부정적인 입장이지만 '민본 21' 등 개혁성향 의원들은 6월 지방선거 전인 3~4월에 전당대회를 열자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조기전당대회 개최 여부도 결국 세종시 사안과 마찬가지로 박 전 대표의 의지에 좌우될 공산이 크다고 보고 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이날 조기전대에 대한 박 전 대표의 생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했다는 일부의 관측에 대해 "전혀 사실적 근거가 없는 소설 같은 이야기"라고 일축했지만 박 전 대표의 태도가 조금씩 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영남의 한 친박 의원은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추진 의지가 너무 강경해 당내에서도 여러 가지 상황변경 사유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지방선거 출마 희망자들의 경우 박 전 대표가 조기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을 잡는 게 필요하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가 지난 18일 정몽준 대표를 향해 세종시 당론 번복에 따른 '책임'을 거론한 대목이 결국 조기전당대회를 통한 심판론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