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베, 고이즈미 데자뷰… 정치·외교 행보

야스쿠니 신사 참배 강행<br>보수세력 결집 유도하고<br>美 중시· 中 견제도 유사


아베 신조 총리는 정치 성향 및 외교정책에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와 유사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집단적 자위권이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강행하며 자국내 보수 세력을 결집하는 한편 주변국과의 외교 마찰도 개의치 않는 점은 영락없이 '닮은 꼴'이다.

지난해 12ㆍ16 총선에서 극우 공약을 내걸며 우경화 우려를 불러일으킨 아베 총리는 막상 취임하자 경제 회생에 전력하는 모습이지만, 오는 7월 참의원 선거 이후에는 극우 본색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아베 정권이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쟁과 군대보유를 금지한 일본의 평화헌법(헌법 9조)를 개정하기 위해 개헌안 발의 요건이 규정된 헌법 96조의 개헌 문제를 선거 쟁점화할 것이란 분석도 제기하고 있다. 아베 정권은 현재 중의원과 참의원 의원 '3분의 2이상 찬성'으로 돼 있는 발의요건을 '과반수'로 낮추려 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아베 총리는 자민당 총재 시절인 지난해 10월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고 "총리 임기(2006~2007년) 중에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지 못한 것이 통한"이라고 밝힌 만큼, 이번 임기에는 신사 참배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일단 오는 21~23일 춘계 예대제(제사) 때는 참배하지 않고 공물 봉납으로 대신하기로 했지만 10월 추계 예대제에는 참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앞서 고이즈미 전 총리 역시 2001~2006년 재임기간 중 매년 야스쿠니 신사를 찾으며 한국, 중국 등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고이즈미는 지지율이 하락하거나 총선 실패 등 정치적 위기상황에 몰릴 때마다 신사 참배를 하며 국면 전환을 모색했었다.

미국과의 동맹외교를 중요시하는 반면 중국을 견제하는 점도 아베와 고이즈미의 공통점으로 꼽힌다. 고이즈미 전 총리는 이라크전 파병 등을 통해 미국과의 관계를 돈독히 했으며, 아베 총리 역시 미국이 주도하는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 교섭 참가 선언 등 민주당 정권에서 소원해진 미일관계를 복원하는데 공을 들이고 있다.

아베 총리가 중국과 영토 갈등을 겪는 주변국을 차례로 방문하는 정상 외교를 펼치면서 중국 포위에 나서는 모습 역시 고이즈미 전 총리와 판박이다. 아베는 지난 3월말 몽골을 찾았으며 이달말에는 러시아를 방문할 예정이다. 두 국가 모두 고이즈미 전 총리가 각각 2006년과 2003년에 방문한 후 일본 총리가 각각 7년과 10년 만에 처음으로 방문하는 것이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