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아파트 5채 중1채 평균전셋값에 매입 가능

노원 절반이상이 평균전세가 이하


서울 아파트 5채 중 1채는 서울시내 평균 전셋값이면 매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써브가 서울시내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119만8,005가구를 대상으로 매매ㆍ전세가를 조사한 결과 평균 전세가인 2억8,526만원보다 매매가가 저렴한 가구가 총 24만2,795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전체 가구 수의 20%에 달하는 수치다.

서울 평균 전세가 보다 매매가가 낮은 아파트는 노원구가 가장 많았다. 전체 12만6,120가구 중 56.3%인 7만1,086가구가 평균 전세가보다 저렴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른 지역에 비해 아파트수가 많은데다 대부분 노후 중소형 아파트로 구성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 평균 전세가 보다 매매가가 낮은 아파트는 노원구 외에도 대부분 외곽지역에 집중돼있다. 도봉구가 5만8,892가구 중 2만9,334가구로 49.8%를 차지했고 금천구도 2만398가구 중 9,158가구로 44.9%에 달했다. 이밖에 ▦중랑구(43.7%) ▦구로구(32.5%) ▦강북구 (31.8%) 등도 저가 아파트 비중이 높았다.

관련기사



강남3구의 경우 전용 60㎡ 이하 아파트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매매가가 평균 전세가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경우 6만7,021가구 중 3.5%인 2,372가구에 그쳤으며 ▦송파구(3.2%) ▦강남구(2.8%) 역시 비중이 미미했다.

특히 용산구는 매매가가 서울 평균 전세가보다 저렴한 아파트가 2만4,201가구 중 단 307가구인 1.2%에 불과해 25개 자치구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김미선 부동산써브 선임연구원은 "부동산 대책 법안 지연으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평균 전셋값 수준에 매입 가능한 아파트 비중은 당분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