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일자리 360만개 생긴다

2020년까지 1인당 GDP는 4만5,000弗 전망<br>산업연구원 "15년간 연평균 4.6%씩 성장"




앞으로 15년간 우리 경제는 연평균 4.6%씩 성장해 오는 2020년에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4만5,0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자리는 약 360만개가 새로 창출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연구원은 개원 30주년을 기념해 19일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한국산업의 발전비전 2020’을 주제로 한 국제세미나를 개최하고 2020년의 우리 경제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다. 연구원은 생산인구 증가세 둔화, 노동시간 단축, 투자율의 점진적 하락 등으로 성장잠재력이 과거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고 2020년까지 실제 GDP 성장률을 4.6%(2005~2010년 연평균 5.3%, 2011~2020년 4.1%)로 추정했다. 다만 연평균 5.1%의 고성장을 한다면 1인당 GDP가 5만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득 수준 향상으로 내수도 확대돼 경제의 해외의존도가 줄고 일자리는 360만개가 새로 창출돼 고용률이 2004년의 60%에서 2020년엔 67%로 높아질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상품 수출입액은 2020년 1조4,000억달러로 세계 7위의 무역대국으로 올라설 전망이며 무역수지는 630억달러 흑자를, 서비스를 합친 총교역액은 1조7,00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제조업의 세계수출시장 점유율은 2004년 3.5%(8위)에서 2020년에 4%로 높아져 7위로 올라서고 고성장시에는 영국ㆍ이탈리아를 제치고 6위로 부상할 것으로 점쳐졌다. 주력기간산업의 시장점유율도 5%에서 5.8%로 상승할 전망이다. 산업별로는 조선이 2020년에도 세계 1위를 지키고 전자ㆍ반도체는 현재 4위에서 3위로, 철강은 6위에서 3위로 올라서고 자동차는 7위를 유지할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연구원은 이와 함께 미래 유망산업으로 차세대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바이오 신약ㆍ장기, 디지털TV, 연료전지자동차, 문화콘텐츠, 게임, 서비스로봇 등 41개를 선정해 집중 육성할 것을 제안했다. 한편 연구원은 2020년까지 산업의 성장잠재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3대 메가트렌드로 ▦디지털ㆍ네트워크 기술 성숙 ▦ITㆍBTㆍNTㆍ신소재기술의 융합 ▦남북한 경제협력 및 통합 전망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3대 트렌드로는 ▦고령화 ▦환경과 천연자원 문제 심화 ▦표준과 지식재산권 등 기술패권주의를 꼽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