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말기 암환자 90% "무의미한 연명치료 거부"

말기 암환자 10명중 9명이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허대석 교수팀은 올해 2~7월 내과에 입원해 암으로 사망한 172명을 분석한 결과 89.5%(154명)가 연명치료 중 하나인 심폐소생술을 거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18명(10.5%)에 불과했다. 특히 말기 암환자를 전문으로 간병하는 완화의료전문병동에서 사망한 암환자의 경우 44명 전원이 심폐소생술을 거부했다. 4년 전인 2007년만 해도 이 병원 내과에서는 사망한 암환자 572명 중 14.2%(81명)가 심폐소생술 처치를 받았다. 4년 새 4% 포인트가량 연명치료가 줄어든 셈이다. 심폐소생술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에서 생명을 구하는 응급 처치술이지만, 말기 암환자의 임종과정에서는 불필요한 고통을 가중시키는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하지만, 죽음에 임박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표현이 불가능할 때를 대비해 미리 의사표시를 해놓는 ‘사전의료의향서’는 환자보다 가족이 작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허 교수는 “무의미한 연명시술로 불필요한 고통을 추가로 겪게 되는 사례가 감소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암이 진행되기 이전에 병의 상태를 환자에게 알리고, 환자가 직접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대병원의 경우 응급실 등에서 불필요한 연명시술이 시행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 전산망에서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회할 때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여부가 바로 표시되도록 의무기록 시스템을 보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