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례 문화, 이젠 火葬이 대세

부산 가장 높고, 제주 가장 낮아


장례방식이 매장에서 화장으로 인식변화가 급변하면서 지난 10년간 화장률이 2배로 뛰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외국인을 제외한 사망자 25만5,403명 가운데 17만2,276명이 화장으로 장례를 치러 전국 화장률이 67.5%를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10년 전인 지난 2000년의 화장률 33.7%의 2배가 넘는 수치다. 지난해 하루 평균 화장으로 장례를 치른 인원은 472명으로 2009년의 440명에 비해 32명이 늘었다. 화장이 위생적이고 간편한데다 사후관리도 쉽다는 장점 때문에 매장을 제치고 대세로 자리를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화장률이 83.5%로 가장 높았고 인천(81.1%), 울산(77.7%) 서울(75.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화장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48.3%였고 충남(48.4%), 전남(48.4%)도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수도권 화장률은 75.5%, 비수도권은 62.1%로 수도권 화장률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았다. 또 서울, 부산 등 7개 특별시와 광역시 화장률은 75.5%, 그 외 시ㆍ도는 61.8%로 대도시의 화장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화장률이 70.6%로 여성(63.1%)에 비해 높았고 연령대별 화장률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화장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전문 장례식장에 화장로 설치를 허용하고 지방자치단체간에 화장시설을 공동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다. 현재 전국의 화장시설은 51개소(화장로 277기)이며, 현재 신축 중인 화장시설은 8개소(화장로 57기)다. 이 시설은 대부분 올 연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복지부는 자연친화적이고 비용 부담이 적은 미래지향적 장사방법의 대안으로 부상한 자연장을 활성화하기로 하고 자연장지 조성 면적 및 구역 등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