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생산직 사원도 임원 될 수 있다

사무직처럼 대리-과장-차장-부장으로 직위변경…기술전문임원, 기술명장 도입 등 승진체계도 다원화

두산중공업에서도 앞으로 생산직 근로자 출신의 임원 승진이 더욱 늘어나게 됐다. 두산중공업은 생산직 사원이 임원까지 승진할 수 있도록 직위와 승진체계를 새롭게 바꾼 인사제도를 이달부터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새 인사제도가 생산직 사원을 우대하고 체계적으로 육성해 회사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 인사제도에 따라 두산중공업은 지난 1962년 창사 이래 생산직 근로자를 불러오던 호칭인 반장, 직장, 기장을 각각 대리, 과장, 차장, 부장으로 변경했다. 기존 입사 5년차 이상의 반장은 연차에 따라 대리와 과장, 입사 15년차 이상의 직장은 차장과 수석차장, 기장은 부장이라는 직함을 사용하게 된다. 그동안 대규모 공장을 가진 국내 기업들은 대체로 현장 직원들을 기정, 기감, 반장, 조장, 직장, 기선처럼 사무직과 괴리가 큰 호칭으로 불러왔다. 두산중공업은 이 같은 직위 변경을 토대로 생산직 사원의 승진체계를 전면 개편했다. 승진 경로를 생산 현장 관리자, 기술 전문가, 일반 관리직 전환 등 3가지 트랙(track)으로 다원화해 특기와 적성에 따라 진로를 선택하면 임원 승진까지 가능토록 했다. 현장 관리자 트랙은 생산현장을 계속 지키면서도 대리, 과장, 차장, 부장을 거쳐 기술전문임원으로 승진할 수 있다. 일반 관리직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뛰어난 업무 성과를 보이면 향후 공장장이나 생산담당 임원으로 승진이 가능하다. 단, 생산직에서 13년 이상 근무한 사람 가운데 신청을 받아 사측이 관리직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 기술 전문가 트랙은 관리자로서의 승진 경로를 밟는 것보다 '기술 명장'으로 남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위한 제도로, 기술 명장이 되면 임원에 버금가는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김명우 두산중공업 부사장(관리부문장)은 "생산직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일부 남아 있어 현장 근로자들은 호칭 변경을 환영하는 분위기"라면서 "이번 인사제도 개선은 단순히 호칭이나 승진 경로 변경에 그치지 않고 대중소기업, 학력 차별 철폐 등 공생발전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