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경제] 8일 경제 장관·5단체장 회동 주목

설 연휴 고향에서의 정겨운 시간을 뒤로 하고 일상에 돌아온 모습은 그리 밝지 않다. 치솟는 물가와 구제역으로 사나워진 민심은 연휴를 갈무리하는 시간에도 누그러지지 않은 듯하다. 이번주 경제 일정들도 여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당장 8일에는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경제부처 장관들이 경제 5단체장들과 만남을 갖는다. 공정거래위원장과 지식경제부 차관 등이 모두 참석하는데, 경제 부처 수장들이 동시에 단체장들과 만남을 갖는 것 자체가 매우 이례적이다. 회동의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역시 가장 큰 이유는 물가일 것이다. 장관들이 일일이 기업인들을 만나기가 쉽지 않은 만큼, 단체장들에게 물가 인상을 억제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해주도록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의 협조를 경제5단체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기업들 역시 국제 원자재값 급등으로 채산성이 나빠지고 있어 발등에 불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뒤이어 공정위원장은 물가 안정을 위한 ‘행동 대장’ 역할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9일부터는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의 릴레이 간담회를 연다. 대형 유통업체를 시작으로 건설업체와 주요 그룹의 CEO를 순차적으로 만난다. 같은 날에 정부는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연다. 이날 회의는 매우 이례적으로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서민물가 안정대책에 대한 추진실적과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정부는 설 연휴를 끝으로 농수산물 수급에 한숨을 돌렸다고 판단, 휴대통신과 석유제품 등 독과점 품목의 가격 합리화 방안에 대해 집중 얘기할 예정이다. 갓 취임한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8일 에너지 업계와 신년 인사회를 겸한 첫 만남을 갖는데 때가 때인 만큼 기름값을 포함한 가격 인하 방안에 대해 자연스럽게 얘기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11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는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이 높다. 물가당국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을 막기 위해 연초부터 금리를 전격 인상했는데,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꺼낼지 주목된다. 이밖에 8일 국세청이 출범시키는 첨단탈세방지센터는 역외 탈세 등을 전담으로 마크하는 조직이 생긴다는 점에서 앞으로 적지 않은 뉴스의 창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