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정일사망' 악성코드주의

사진·동영상·e메일로 전파… 광고성 사이트 이동 등 피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악성코드가 나돌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1일 잉카인터넷 및 안철수연구소 등 보안업계에 따르면 해커들이 김 위원장 사망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전파하면서 피해사례가 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김정일 시신 분석'이라는 내용 등으로 여러 사진이 유포되고 있으며 이를 클릭할 경우 특정 사이트로 강제 이동된다. 해당 사이트는 접속자에게 고민 상담을 해주겠다며 접근한 뒤 갖가지 악성파일 설치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에서는 김 위원장의 죽음이 담긴 유튜브 동영상을 통해 악성코드를 퍼뜨리는 사례가 발견됐다. 이용자들이 해당 동영상 댓글에 적힌 링크를 클릭할 경우 광고성 악성파일 설치 사이트로 자연스레 이동한다. 처음에는 김 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블로그로 연결되지만 잠시 후 다른 도메인으로 강제로 이동돼 광고 프로그램 설치를 강요받는다. 이외에도 김 위원장 사망과 관련된 'N Korean leader Kim Jong-il dies'라는 제목의 e메일이 나돌고 있으며 해당 e메일에는 여러 가지 악성파일이 첨부돼 있다. 해당 파일은 PDF 및 DOC 파일로 위장돼 있고 특정 호스트로 접속을 시도, 해커가 이용자의 PC를 임의로 조종할 수 있게 했다. 잉카인터넷의 한 관계자는 "최근 A양 동영상이나 오사마 빈라덴 시신 사진을 이용한 악성 e메일같이 사회적 관심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경우가 많다"며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이 알려진 지 하루 만에 다양한 악성파일이 발견될 만큼 해커의 공격이 교묘해지고 있어 이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악성코드 감염 방지를 위해 각종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보안패치를 생활화하고 백신을 상시 업데이트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