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한강 르네상스 취소? 재건축 사업은 어떻게? 불안감에 매수 뚝…전화만 빗발

10·26 재보선후 서울 부동산시장 살펴보니…<br>"더 지켜보자" 관망세 뚜렷<br>일부 지역 급매물도 늘고 강남 재건축 급락세속<br>"큰 변화는 없을것" 전망도

재개발·재건축 속도조절 입장을 밝혀온 박원순 서울시장의 취임으로 재개발·재건축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매수세가 줄고 관망세가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서울 개포주공·시영 등 강남 재건축단지 전경.

"시장선거 후 '한강 르네상스가 정말 취소되냐'는 수요자들의 문의전화가 수차례 걸려왔습니다. 집값이 또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불안심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마포구 합정동 M공인중개의 한 관계자) "지난주 은마아파트 재건축을 매입하려던 투자자가 서울시장이 바뀌자 좀 더 지켜보자며 거래를 미루더군요. 매수 문의전화도 줄었습니다."(강남구 대치동 S공인의 한 관계자) 10ㆍ26 재보선으로 수도 서울 행정의 수장이 바뀐 뒤 첫 주말을 맞는 서울 부동산시장은 온통 불안감으로 뒤덮였다. 10여년 가까이 한나라당이 집권하며 유지되던 부동산정책 기조가 단번에 바뀔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이 후보 시절부터 재개발ㆍ재건축 속도 조절과 한강 르네상스 사업 전면 재검토라는 공약을 여러 차례 밝힘에 따라 성수ㆍ여의도ㆍ합정ㆍ이촌ㆍ압구정 등 전략정비구역과 강남권 재건축시장 등에서는 매수세가 줄고 관망세가 짙어지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급매물까지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8%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구와 강동구 내 재건축단지들은 각각 0.12%, 0.27%씩 큰 폭으로 하락했다. 개포동 S공인의 한 관계자는 "아직 가격 하락 움직임이 크지는 않지만 매수문의는 뚜렷하게 줄어들고 있다"며 "강남 재건축에 대한 수요자들의 불안심리가 가속화하고 있어 이대로는 가격이 더 하락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강동구 둔촌동 D공인의 한 관계자도 "선거 이후 많은 매도자들이 적게는 500만원, 많게는 2,000만원까지 가격을 하향해 물건을 내놓고 있다"며 "반면 매수자들의 대부분 좀 더 지켜보자는 관망세로 돌아선 상황"이라고 전했다. 종 상향 등 재건축 관련 호재 또는 악재 대부분이 서울시 행정에 의해 좌우되는 만큼 개발사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온 박 시장의 취임으로 강남 재건축의 사업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불안도 제기되고 있다. 송파구 G공인의 한 관계자는 "가락시영아파트의 경우 3종 상향이 되지 않으면 사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데 11월 열릴 소위원회에서 어떤 식의 결과가 나올지가 관건"이라며 "만약 불가 결정이 나온다면 가격 하락이 불가피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강남구 개포주공2단지 추진위 측도 "재건축은 추진 속도가 곧 사업성인데 인위적으로 사업을 지연시켜 사업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경우 아직 집값 하락을 단언하기에는 이르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박 시장 측에서 주택ㆍ부동산 관련 구체적인 움직임을 드러낸 바가 없는 만큼 성급한 결론을 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의 함영진 실장은 "개발사업을 전면 재검토한다고 해도 국내 자산시장에서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큰 만큼 진행되는 모든 사업을 취소ㆍ폐지하고 재개발을 올스톱시키는 등의 극단적인 결정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대표도 "현재 부동산시장이 투자자보다 실수요자 위주로 구성돼 있는데다 서울시장 임기가 너무 짧아 어떤 변화가 있더라도 큰 영향을 끼치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