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친박, 소장파-이상득계 사이 줄타기?

소장파 연대해 당권 장악… 이상득계와는 정권 재창출 협력 움직임


한나라당의 권력지형이 뒤집어진 판국에 친박근혜계가 소장파와 이상득계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고 있다. 차기 대권 유력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를 중심으로 형성된 친박계로서는 소장파와 이상득계 등 두 진영의 협력이 필요하지만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 어느 쪽에도 완전히 마음을 열지 않는 모습이다. 친박계ㆍ소장파ㆍ이상득계 등 세 진영이 함께 비주류 원내대표를 탄생시킨 후 원내 권력변화의 첫 시험대인 감세정책에서 친박계와 소장파의 미묘한 입장차이가 드러난다. 친박계와 이상득계의 관계에서도 겉으로는 연대의 모습이 감지되지 않는다. 친박계 입장에서 볼 때 소장파 및 이상득계와 드러내놓고 밀착할 경우 당권장악을 위해 전면에 서는 것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친이명박계를 자극해 분열 움직임을 보이는 친이계의 재결집을 불러올 수 있다. 또 박 전 대표가 본격적인 대선행보를 하기도 전에 이재오계 등 친이계의 견제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은 황우여 원내대표 당선에서 드러난 소장파와 친박계의 연합이다. 한 친박계 의원은 "친박계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소장파와의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다만 이를 소장파의 '월박(친박계로 넘어옴)'이라고 칭하는 것은 우리 쪽의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고 범한나라당의 이름으로 뭉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안상수 대표 등 기존 지도부가 퇴진하면서 구성한 비상대책위원장과 위원, 역할 등에 반대하고 있으며 11일로 예정된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이 같은 의사를 전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측은 감세정책의 각론에서 갈린다. 소장파인 정두언 의원은 10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법인세와 소득세 추가 감세 철회에 찬성한다"고 밝혔지만 박 전 대표는 여전히 소득세 추가 감세에만 찬성하는 입장이다. 친박계인 이한구 의원은 "재정건전성 문제가 있으니 감세철회 논의를 시작하는 것은 맞다"면서도 "법안 시행시기는 오는 2013년인데 지금 부족한 복지재원을 소득세ㆍ법인세 감세철회를 통해 찾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반면 소장파인 정태근 의원은 "실제 적용은 2012년이므로 올해 마무리 지어야 한다"고 했으며 한 소장파 의원은 "우리는 지난 2009년부터 감세철회를 주장했는데 친박계는 그때 가만히 있다 이제와 발을 걸치냐"고 꼬집었다. 친박계와 이상득계와의 협력은 소장파에 비해 덜 두드러진다. 다만 현 집권세력이 성공해야 차기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게 친박계의 생각이다. 이상득계는 현정부의 레임덕을 방지하고 정권 재창출 이후를 보장받기 위해 친박계에 손을 내밀고 있다. 친박계의 한 의원은 "이상득계와는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상득계의 한 의원은 "이재오 특임장관과 달리 이 의원은 박 전 대표와 사이가 나쁠 게 없다"고 밝혔다. 현정부의 경제정책을 지지하는 이상득계는 황우여 원내대표의 10조원 복지예산에 대해 "재원 근거가 부족하다(이한구 의원)"고 지적하는 친박계의 일부 지적을 수긍하고 있다. '10조원 복지론'은 소장파가 제안해 황 원내대표가 채택한 내용이다. 관심을 모으는 건 이 장관이다. 그는 대체로 자신의 도움으로 18대 공천을 받았으면서도 최근 쇄신 바람을 타고 자신의 2선 퇴진론을 제기한 소장파에 대해 '배신' 등의 표현을 쓰며 섭섭한 감정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이상득계가 비주류를 밀었다는 심증도 강한 상태다. 하지만 이 의원은 '경선 개입설'에 대해 이날 "결코 개입한 적이 없다. 가만히 있는 사람을 놓고 왜 그런 억측들을 쏟아내는지 이유를 모르겠다"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