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美시행사-국내업체, 평택 군용주택 짝짓기 한창

주한미군 평택기지 군용주택 발주 앞두고<br>피너클등 공동 참여 타진에 국내업체들도 적극<br>공실·임대기간등 보장 안돼 "이상과열" 지적도

주한미군의 평택 이전기지 내 군용주택 발주를 앞두고 미국계 시행사가 국내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참여를 타진하는 등 미국계 시행사와 국내 건설업체 간의 짝짓기 작업이 한창이다. 그러나 발주처인 미군 측은 공실과 임대 기간 등에 대한 보장을 하지 않는 것으로 최종 확정해 미군기지 사업이 이상과열 현상을 빚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미국계 시행사인 ‘피너클(Pinnacle)’사 등을 포함해 2~3개의 미국계 시행사가 국내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평택기지 내 군용주택 사업 공동 참여를 타진하고 있다. 이들은 재무적 투자자를 확보한 국내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평택 기지의 군용주택 사업 참여를 논의하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피너클사는 해외미군기지 사업에서 수차례 사업을 마무리지은 시행사로 국내 평택 기지 이전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국내에서 여러 건설업체와 접촉하고 있다”며 “다만 이들은 재무적 투자자를 확보한 건설업체만을 파트너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건설업체들 역시 평택 기지 군용주택 사업 참여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선 재무적 투자자 확보 방안 등 사업 수행을 위한 논의를 벌이고 있다. 또 다른 건설업체의 관계자는 “평택 기지 사업규모가 1조2,000억원에 달하는 만큼 건설업체로서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프로젝트”라며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이 평택 기지 사업 수주를 위해 모든 방안을 동원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국내 건설업체들이 1조원이 넘는 사업 규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미군 측이 2,400가구에 달하는 군용주택에 대해 공실은 물론 임대 기간에 대해서도 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군 측이 공사 완공 후 1년 뒤 철군할 경우에도 미군기지의 토지 소유권은 한국정부인 만큼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한다”며 “미군 측이 기지 내 주택 대신 부대 밖 아파트를 이용할 수도 있어 공실 보장도 원천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편 이번 민자사업은 사업규모가 1조2,000억원이며 오는 2011년을 시작으로 전체 2,400가구의 군용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미군 측은 올해 말까지 사업자를 선정한 뒤 2009년 착공에 돌입할 예정이다. 다만 건설사는 한국 정부가 미군에 제공하는 평택 기지 내 2,400가구의 군용주택을 건설한 후 미군의 임대료에 의존해 건설비용을 충당해야 한다. 임대료의 경우 용산기지(1주택 당 연간 계약으로 월 350~400만원)와는 달리 건설사가 임대료를 제시한 후 미군 측은 임대료의 적정성을 판단한 후 확정하겠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